[Marketeeronline]
▢ 주요 내용
ㅇ 최근 태국 인구 25% 이상이 육류소비를 줄이고 있으며, 식물성 식단 또는 유연한 채식주의 식단(Flexitarian)으로 식사를 하는 것을 밝혀졌다.
ㅇ 네슬레(Nestle)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태국인 채식주의자들은 해당 식단을 고집하고 있는 이유로 첫째, 건강 유지의 목적(65%), 그리고 체중 조절의 목적(20%)이라고 밝혔다.
ㅇ 2019년 TOA그룹의 대체육 브랜드인 LottoFood 자료에 따르면 태국의 대체육 시장 가치는 현재 270억 바트(약 한화 1조 149억 3,000만원)규모이며, 2024년에는 510억 바트(한화 약 1조 9,170억 9,000만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한 2027년까지 식물성 식품이 전체 식품 비율의 3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ㅇ 또한, 태국의 경우 점진적으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것 역시 관련 시장의 성장을 유도하는 요인으로 분석되는데 2019년 태국의 60세 이상 인구수가 1,160만에서 2025년에는 1,440만 명으로 증가하여 조만간 완전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ㅇ 현재 태국의 대기업 및 중소기업 모두 RTD(Ready to Eat) 식품을 통해 대체육 시장진출을 준비하고 있으며, 현지 주요 외식업체인 맥도날드, KFC, 버거킹에서도 대체육 메뉴를 추가하면서 대체육 시장 성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ㅇ 현재 태국의 대체육 기반 식품시장은 여전히 미성숙 시장이며, 이는 다시 말해 시장 진출 여지가 많은 블루오션 시장으로 해석이 된다. 최근 대다수 현지 기업들이 대체육 식품 개발(R&D)을 통한 실제 육류의 맛과 식감을 표현하기 많은 투자를 진행하고 있어, 머지않아 다양한 종류의 대체육 식품들을 현지 시장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시사점
ㅇ 코로나 엔데믹 후 현지 소비자드의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는 태국 소비시장 상황은 대체육 시장을 앞으로 더욱 성장하세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많은 식품 기업 뿐 아니라 비식품 기업들 역시 합작투자 또는 신규 브랜드 런칭을 통해 대체육 시장에 진출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향후 미래의 대체육 시장의 가치는 현재보다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