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품종 꽃 - 이온빔 투사로 독특한 색과 형태
2000-02-29
후쿠오카현은 일본 원자력연구소와 공동으로 이온빔을 꽃의 세포에 투사하여돌연변이를 일으켜, 새로운 색이나 형태의 꽃 등을 개발. 국화,진달래,동백 등의 신품종 개발이 그 사례로 이 기술은 가속기(加速器)를이용한 것으로 농수성 농업생물자원연구소 등에서도 이미 실시 하고는 있지만 기초연구 뿐. 실용화를 겨냥한 것은 이번이 처음. 향후 공동연구 5년동안 부가가치가 높은 꽃을 만들 예정. 가속기에서 투사하는 이온빔은 빛의 70∼80%의 속도로 세포에 투사하면 투사속도의격파로 돌연변이가 일어남. 변이한 세포를 키워서 이변을 확인. 돌연변이가 일어날 확률은 자연계에서는 백만분의 1이지만 지금까지 2년간 사전연구에서는 0.7%까지 진척 되었으며 잎의 크기 등의 변이가 나타나고 있음. 후쿠오카현 농업종합시험장 생물공학연구실은 「프로트프라스트」로는 1회 투사로5만여개의 세포를 돌연변이 시킬 수 있으며 그런만큼 이변의 확률이 높아진다고 설명. 국화에서는 대륜계에서 선명한 적색, 짙은 핑크, 오렌지계를 만들어 냄. 화분에 알맞는 소형이나 옆눈이 나오지 않는 품종, 잎마름병 등에 잘 걸리지 않는품종의 개발도 시도. 진달래는 꽃잎이 8잎이 나는것, 동백은 가로수에 알맞는 소형품종이나 지금까지 없는 특이한 품종개발을 겨냥하고 있음.가속기는 원래 원자핵연구에 이용하는 것이지만 일본 원자력연구소에서는 설계단계부터 바이오테크날리지에 응용할 수 있도록 설계. 동 연구소의 연구부장은 「현이나 시험장의 방침으로 이온빔 투사에 의한 실용화를 겨냥한 신품종 개발은 이번이 처음이며 성과를 기대한다」고 언급. 후쿠오카현은 전국 3위의 화훼의 생산현으로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남들이 개발할 수 없는 품종을 찾아내야 할 필요가 있기때문에 사업을 착수하게 되었다고설명.(자료 : 오사카 농업무역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