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본] 일본 규격 JAS 마크에 대해서 알아보자
2025-10-24

■ 개요





※ 출처 : 식품신문 및 농림수산성 홈페이지


 JAS는 일본 농림 규격(Japanese Agricultural Standards)의 앞 글자를 딴 통칭으로 음식료품, 유지, 농산물, 임산물, 축산물, 수산물 등의 품질과 성분, 생산방법, 관리, 서비스 등의 기준을 농림수산대신이 정하는 국가 규격이다. 국가가 인정한 등록인증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으면, 그 증거로 일본 농림규격을 충족하는 제품이나 광고 등에 JAS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그렇다면 왜 이런 규격이 생긴 걸까? JAS에 관한 법률이 처음 제정된 것은 약 75년 전인 1950년으로, 당시 전후의 혼란과 물자 등의 부족으로 인하여, 시장에는 품질이 나쁜 제품이 마구잡이로 유통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시장에 유통되는 농산, 수산품을 비롯하여, 식품의 품질 및 사양을 일정한 범위와 수준에 맞추기 위한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었다. 인증 건수도 최근 2010년부터 2024년에 걸쳐서 4,106건에서 6,040건으로 약 1.5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JAS의 종류와 특징


※ 출처 : 농림수산성 홈페이지



 평준화 규격 JAS 마크, 통칭 일반 JAS이라고 하며, 품위, 성분, 성능, 기타 품질에 대한 JAS에 적합한 제품에 부착되는 평준화 규격의 JAS 마크이다. 특징으로는 JAS 마크 아래에 인증기관명이 적혀 있다. JAS 마크는 제3자 기관에 의한 객관적인 심사가 이루어졌다는 증거이며, JAS의 등급 설정에 의문이 있거나, 제품에 대하여 문제가 발생했을 시에는 사업자를 추적할 수 있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또, 별도의 등급이 있는 규격의 경우, JAS 마크 위 등에 기록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유기 JAS 마크는 등록인증기관으로부터 유기 JAS 인증을 받은 사업자가 유기 JAS의 기준에 따라 생산한 유기농 농산물, 유기농 축산물, 유기농 조류와 이를 원료로 한 가공식품 등에 부착되어 있다. 사업자가 유기 JAS의 인증을 받고 제품에 유기 JAS 마크를 붙이지 않으면 '유기농' 또는 '오가닉'이라는 표시를 할 수 없는 것이 특징이다.



 특색 JAS 마크는 일본의 전통적인 방법으로 생산된 제품으로, 부가 가치가 있는 제품 등에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일본을 상징하는 「후지산」과 일본 국기를 연상시키는 「태양」을 조합한 디자인을 통해 「신뢰받는 일본 품질」에 대한 이념이 담겨 있다. 이 마크가 부탁된 제품에는 수타 건면, 100% 사과 스트레이트 주스, 일본 생산 토종닭고기, 숙성 햄류, 숙성 소시지류, 숙성 베이컨류, 너구리 제품, 콩고기 식품류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식품이나 농림수산물에 많이 포함된 기능성 성분 등의 측정 방법을 규격화한 시험방법 JAS가 있다. 국제적인 평가 기준에 따라 등록을 받은 시험 인증 업자가 적정한 시험방법에 의거, 시험한 결과라는 점, 즉 시험 결과의 신뢰성을 증명하기 위한 인증이다. 이 마크는 소비자가 직접 볼 수 있는 경우는 잘 없지만, 사업자의 생산기술 등 강점을 어필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판매 전략을 세우는 데 있어 사업자나 생산자에게는 중요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 시사점


 JAS 규격은 본래 제품의 품질을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고, 소비자에게 신뢰할 수 있는 상품을 제공하기 위해 시작된 제도이다. 그러나 시대의 변화와 함께 소비자의 요구가 다양해지고, 단순한 품질뿐 아니라 제품이 지닌 고유한 가치나 특색이 중요시되면서, JAS 규격 역시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현재는 품질의 향상뿐 아니라, 생산방법의 차이, 사업자의 노력, 시험 및 인증 방법 등을 통해 제품을 차별화하고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새로운 규격이 계속해서 제정되고 있다. 앞으로의 JAS 제도는 일본 국내 시장에 국한되지 않고, 해외 시장까지 시야를 넓혀 글로벌 기준과의 조화를 추구하며, 한층 더 발전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일본의 농림수산물과 식품이 세계 시장에서도 높은 신뢰와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진화해 갈 것으로 보인다.


※ 출처


JAS 마크에 대한 전체 개요 – 농림수산성

https://www.maff.go.jp/j/jas/jas_system/attach/pdf/index-123.pdf


JAS 마크에 대해서 알아보자 - 농림수산성

https://www.maff.go.jp/j/jas/jas_system/attach/pdf/index-43.pdf


JAS 인증 건수 데이터 

https://kle.ovj.jp/vol-28tokusyu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