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본] 숫자로 보는 삼계탕 수출·유통 동향
2025-10-20

[지구촌 리포트]

▶ 대일본 삼계탕 수출 동향


- KATI 통계에 따르면, 삼계탕의 대일본 수출은 2021년에 수출 금액과 수출 물량 모두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 특히 2025년의 경우, 8월까지 누적 실적이 수출 금액 1,718천 달러(약 244억 5천만 원), 수출 물량 404톤에 그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6.3%, -26.2% 감소해 뚜렷한 하락세를 나타냈다.

 ※ 2024년 1~7월 누계 실적: 수출금액 2,331천 달러(약 331억 5천만 원), 수출 물량 574톤

external_image

- 삼계탕 수출 감소에 대한 이유로서, 수입업체 H사는 2021년 이후 수출 감소 요인으로 일본산 삼계탕 제품의 확산을 지목하였다. “한국산 삼계탕은 대용량에 가격대가 높은 반면, 일본산 제품은 소용량으로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저렴해 소비자 접근성이 높다”는 의견이다.


- 수입업체 G사 역시 “일본 내에서 삼계탕 메뉴 자체는 이미 자리를 잡았지만, 한 마리 단위 구성과 높은 가격 때문에 실제 구매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지 않다”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에서는 삼계탕뿐 아니라 국탕류 전반에 걸쳐 1~2인분 소용량 제품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 일본 내 삼계탕 시장 규모 및 동향


후지경제 조사에 따르면, 일본 내 삼계탕 시장은 일본산 레토르트 제품, 삼계탕, 수프와 죽, 전골 요리용 육수 등을 포함하여 2019년 250억 엔(약 2,355억 원)에서 2021년 275억 엔(약 2,590억 원)으로 확대되었으나, 2022년에는 소폭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이후 한식 인기가 높아지면서 삼계탕 수요도 증가하였고, 2020년 이후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가정 내 조리 수요가 늘어나 슈퍼마켓 판매가 확대되며 시장이 성장하였다. 그러나 2021~2022년에는 외식 수요 회복과 양념치킨 등 다른 한식 메뉴의 인기가 부상하면서 삼계탕 시장은 다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이후에는 레토르트 식품의 간편성이 부각되며 삼계탕 관련 상품 판매가 호조를 보이고 시장도 다시 확대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external_image

▶ POS 데이터로 본 삼계탕의 원산국별 판매 금액·비중 및 제품 수

 - M사 POS 데이터 분석 결과,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일본 내 삼계탕 시장은 성장세를 보였다. 삼계탕 시장은 일본산 삼계탕 표방 제품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나, 한국산 제품의 판매 비중이 소폭 확대되는 추세로 나타났다.

 - 일본산 삼계탕 표방 제품의 수는 2022년 29개에서 2023년 50개, 2024년 71개로 증가하였다. 이는 일본 내 제조업체들이 제품 유형, 용량 등을 다양화하며 신제품을 출시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한국산 삼계탕 제품 수는 2022년 7개에서 2023년과 2024년에 8개로 늘어나며, 3년간 1개 신제품이 추가되었다. 판매 비중이 2022년 13.32%, 2023년 13.18%, 2024년 18.05%로 소폭 증가하였다.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 POS 데이터로 본 한국산 삼계탕 판매 추이 및 해석

 - RDS POS 데이터 분석 결과, 일본 내 유통 중인 한국산 삼계탕 제품의 판매금액은 2022년 이후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이 감소했음에도 POS 기준 판매금액이 늘어난 것은 제품 판매가격 상승과 소용량 제품의 수요 증가로 인한 구매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external_image

 - C사는 자사 삼계탕 800g 제품의 판매가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판매가 증가한 이유에 대해, 2024년 11월 슈퍼마켓에서 실시한 시식·판촉 행사가 판매 확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 특히 삼계탕죽 285g의 소용량·간편형 제품의 판매가 늘어난 것은 1인 가구의 증가와 가격지향의 소비 트렌드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 POS 데이터로 본 삼계탕의 원산국별 제품 유형 및 포장 형태

 - 2024년 제품 유형별 판매 비중을 보면, 한국산은 주로 레토르트 삼계탕(89%)과  죽(11%) 형태에 집중된 반면, 일본산 삼계탕 모방 제품은  레토르트 삼계탕, 죽, 수프, 전골 요리용 육수, 인스턴트 식품(컵라면, 컵국밥 등) 등으로 제품군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일본산 제품은 이유식용 삼계탕 수프나 요리에 활용할 수 있는 시즈닝 제품 등으로 제품군이 확장되면서, 제품 다양성이 한층 두드러졌다.

external_image

 - 제품 포장 형태별로는 파우치가 대부분이며, 용기형(인스턴트식품 컵용기 포함), 트레이(필름 밀봉형) 순이었다.

external_image

▶ POS 데이터로 본 2024년도 삼계탕 평균 판매가격


M사 슈퍼마켓 POS 데이터 분석 결과, 2024년도 일본산 레토르트 삼계탕 제품의 평균 판매가격은 913엔(약 8,595원), 평균 용량은 906.67g으로 g당 단가는 약 1.01엔(약 9.5원)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산 삼계탕의 평균 판매가격은 1,102엔(약 10,380원), 평균 용량은 842.86g으로 g당 단가는 1.31엔(약 12.3원)으로 일본산 제품보다 단위 중량당 가격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external_image

-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일본 소매 판매채널의 POS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삼계탕 판매는 주로 10월부터 2월까지의 추운 계절에 집중되는 뚜렷한 계절적 특성을 보였다. 이는 한국에서 여름철 복날 보양식으로 소비가 늘어나는 것과 달리, 일본에서는 겨울철 음식으로 인식되어 여름철 판매가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 POS 데이터로 본 일본 내 삼계탕 지역별 매출 비중

 - RDS POS 데이터를 점포 단위로 환산한 결과, 일본 내 삼계탕 매출은 지역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수도권 지역의 전체 삼계탕 판매 비중은 전국의 절반(49.16%)을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그다음으로 긴키(11.75%), 도카이(8.96%), 간토·고신에쓰(6.86%) 순으로 나타났다.

 - 한국산 삼계탕의 판매 비중 역시 수도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53.79%), 규슈(19.73%), 도호쿠(8.2%) 지역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반면 호쿠리쿠(2.37%), 도카이(2.37%), 간토·고신에쓰(2.39%) 지역은 매출 비중이 낮았다.
 - 인구 대비 삼계탕 소비액(1인당 기준)을 보면, 수도권이 16.30엔(약 153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도카이 7.52엔(약 71원), 간토·고신에쓰 7.34엔(약 69원), 긴키 7.14엔(약 67원)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산 삼계탕의 1인당 소비액은 수도권 3.08엔(약 29원), 긴키 0.55엔(약 5원), 도카이 0.34엔(약 3원), 간토·고신에쓰 0.44엔(약 4원)으로 전체 삼계탕 시장 평균 9.91엔(약 93원)에 미치지 못했다. 전체 삼계탕 소비 비중과 한국산 소비 비중 간의 격차가 큰 도카이, 긴키, 간토·고신에쓰 지역은 향후 한국산 제품으로 대체 소비를 유도할 수 있는 잠재 시장으로 분석된다.

external_image

▶ 시사점 

- 일본산 삼계탕 표방 제품은 소용량·저가형으로 구성되어 소비자들이 부담 없이 구매할 수 있는 반면, 한국산 삼계탕은 대용량 제품이 많아 전체 가격이 비싸게 느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일본산 제품은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산 삼계탕도 반계탕 등 소용량·저가형 제품 개발과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 일본에서는 삼계탕이 여름철 복날 음식이 아닌 겨울철 건강식·보양식으로 인식되어 소비가 집중되고 있다. 여름철 수요를 넓히기 위해 ‘한국식 복날 보양식’ 문화를 소개하는 홍보 캠페인과 여름철 홍보 판촉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 삼계탕 소비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으며, 1인당 소비 금액 또한 수도권이 가장 높아 수도권 중심의 집중 마케팅 및 판촉 활동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도카이·긴키지역 등은 전체 삼계탕 소비 규모는 크지만 한국산 비중이 낮아 향후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시장으로 해당 지역을 대상으로 한 소비 확대 유도가 필요하다.

▶ 자료 출처

- Kati통계 : https://www.kati.net/statistics/dashBoard.do

- RDS-POS 데이터

- 후지경제

- 모란봉 홈페이지(https://www.moranbong.co.jp/products/detail/1835.html), 

- pigeon 홈페이지(https://products.pigeon.co.jp/item/index-2255.html),

- S&B 홈페이지(https://www.sbfoods.co.jp/products/detail/1663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