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베트남] 하노이 외식 시장 현황
2025-10-17

[지구촌 리포트]


▶ 베트남 외식 시장 현황


◦ Mordor Intelligence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베트남 외식 시장 규모는 미화 약 247억 달러(약 35조 0,818억 원) 수준으로 추정되며, 2030년까지 연평균 10%대 성장을 기록하여 2030년에는 412억 2천만 달러(약 58조 5,964억 원) 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 베트남 인구의 73.2%가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며 음식점의 약 53%가 온라인 주문 또는 배달 플랫폼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온라인 결제, 모바일 주문, 배달 앱이 외식 시장의 핵심 기능으로 자리하고 있다.

◦ 베트남 소비자의 약 42.8%가 월 2~4회 외식을 진행하는 것으로 확인되며 동시에 온라인 채널의 지속적인 확대가 진행되고 있으며 현장 식사(다인인) 비중과 배달·픽업·테이크아웃의 비중이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올라서고 있다.

▶ 베트남 외식 시장 부분별 동향


◦ 공유 주방 : 베트남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외식 시장 부분으로 2029년까지 연평균 약 19%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배달 앱의 확산 및 소비자들의 간편한 외식 선호도 증가와 더불어 주요 배달 사업을 진행 중인 Now.vn, GRAB과 같은 브랜드를 런칭하며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 풀서비스 식당(FSR) : 2024년 기준 외식 유형별 점유율에서 68%를 차지하며 여전히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였다. 국내외 식당 프랜차이즈의 현지 진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아시아 요리가 전체의 40% 이상으로 확인된다.

◦ 퀵서비스 식당(QSR) : 맥도날드(McDonald’s), 버거킹(Burger King), KFC, 롯데리아(Lotteria), 졸리비(Jollibee), 피자헛(Pizza Hut) 등 해외 브랜드가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현지 소비자들은 현지화된 정통 패스트푸드 메뉴와 글로벌 브랜드 메뉴 모두를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 카페 & 바 : 베트남의 전통적인 커피 문화와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카페 및 커피/차 전문점, 디저트 음료/스무디 등이 시장에서 활발하게 영업되고 있다.

◦ 매장 형태 : 전체 식당의 약 78%가 독립 매장으로 확인되며, 베트남 소비자들도 전통적이고 지역색을 잘 살리고 있는 음식점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된다.

◦ 프랜차이즈 매장 : 연평균 11%의 빠른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품질의 일관성 및 서비스 안정성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 선택받고 있다.



▶ 외식 시장 주요 업체 현황


◦ Golden Gate Trade & Services JSC — 2024년 매출액 기준 베트남 최대 외식 기업으로 확인된다.

대표 브랜드: 회전식 샤브샤브 체인 Kichi Kichi, 한국식 고깃집 Gogi House, 대만식 훠궈 전문점 Manwah 등

→ 베트남 내 42개 성·시에서 약 500개 이상 매장을 운영 중


◦ Jollibee Foods Corporation — 베트남 내 Jollibee 매장 약 200곳과 커피 프랜차이즈 Highlands Coffee를 함께 보유.

QSR과 카페 부문 병행 운영을 통해 높은 소비자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현지화 메뉴로 젊은 소비층을 공략 중.


◦ Lotte GRS — 1998년 첫 진출 이후 베트남 전역에 약 250개 매장을 운영 중.

저가 전략 및 한식 메뉴와의 연계로 현지화에 성공하여 폭넓은 소비자층 확보.

external_image

▶ 외식 시장 내 베트남 소비자 동향


  ◦ 베트남 소비자는 지갑을 닫기보다 ‘똑똑하게 쓰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또한 건강·클린라벨·원산지 명확성에 대한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커피 전문점·수입 식자재와 같은 프리미엄 경험의 확대와 동시에 할인형 체인·벌크팩·프로모션 번들 할인과 같은 실속 소비도 챙기고 있다.


  ◦ 현지 소비자들은 성분표·원산지·공정에 대한 투명한 정보를 갈망하고 있으며, 클린라벨 메시지(무첨가·저당·저염·Non-GMO 등)와 영양적 근거 제시가 구매 전환에 직접적 영향을 주고 있다. 


  ◦ 소득 상승과 관광 회복의 영향으로 프리미엄 제품군에 대한 지불 의사가 확대되고 있으며, 경험 지향적 소비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발맞춰 업체들은 스토리·음식·공간을 갖춘 양식을 도심지역에서 빠르게 도입하고 있다.


  ◦ 이와 동시에 실속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구매 단가가 낮은 제품의 지출 빈도가 올라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온라인으로 전환되고 있는 소비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온라인 배달 앱에서는 할인쿠폰 제공을 통한 수요 창출, 프리미엄 카페 및 식당은 예약·멤버십·한정판과 같은 키워드를 통해 희소성 및 체험 중심의 소비자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 베트남의 지역에 따른 소비 성향도 달라지며 호치민 소비자들은 ‘자주, 가볍게, 편하게’ 소비를 진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국에서 가장 높은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1회 평균 지출 금액이 약 7만 VND(약 3,773원)으로 하노이보다 약 14% 낮으며, 거래 횟수는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하노이 소비자들은 ‘덜 자주, 비싸게’ 소비하는 것으로 보인다. 품질 및 경험 중심의 지출 성향이 강하며, 1회 평균 지출 금액이 약 8만 VND(약 4,312원)으로 확인된다. 


▶ 시사점


  ◦ 베트남 외식 시장은 비용 상승, 소비자 트렌드 변화, 관광 회복, 품질 경쟁력 강화 등 복합 요인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세계화가 가속되는 흐름 속에서 현지 문화와의 균형 있는 발전을 통해 지속 가능성을 확보해 나가고 있는 시장으로 판단된다.


  ◦ 한국산 제품을 활용한 메뉴 혁신, 현지 주요 외식 카테고리에 맞춘 레시피 현지화 전략, 안정적 공급을 위한 공급망 최적화, 그리고 브랜드 차별화 전략을 통합 적용하여 성장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 베트남 현지에서 새로운 서비스(구독형 밀키트, 새로운 외식 콘셉트 적용 등)를 전개함으로써, 아직 고착화되지 않은 시장 구조 속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선도할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유의미할 것으로 판단되며, 현지 지역별 소비자 특성을 반영한 선택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 출  처


  ◦ Vietnam’s F&B industry: Consumer shifts, city Insights, and investment outlook / B-Company / 2025.08.26.

  ◦ Vietnam Foodservice Market SIZE & SHARE ANALYSIS - GROWTH TRENDS & FORECASTS UP TO 2030 / Mordor Intelligence / 2025.01.02. 

  ◦ Consumer Foodservice in Vietnam / Euromonitor

  ◦ Food service industry in Vietnam / Statis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