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건강 차(茶) 음료 시장 성장세 뚜렷
건강과 관련한 소비는 현재 중국 소비 업그레이드의 핵심 방향 중 하나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 아래, 건강 차 음료는 기능성과 편의성을 강점으로 비주류 카테고리에서 점차 소비 주류로 자리매김하며 중국 음료 시장의 핵심 성장 동력이 되었다. 아이미디어컨설팅(艾媒咨询)이 최근 발표한 「2025-2026 중국 건강 차 음료 업계 현황 연구 및 소비자 동향 보고서」(이하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중국 건강 차 음료 시장 규모는 약 642.7억 위안(한화 약 12조 5,326억 원)에 달해 전년 대비 25.3%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8년에는 1천억 위안(한화 약 20조 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Z세대 부상으로 젊어지는 중국 소비 주도층
건강 차 음료는 중약재를 함유하거나 약식동원(藥食同源) 원료로 만들어져 건강 증진 효능을 가진 차 음료를 말한다. 그 종류는 다양하여 티백, 고형 페이스트, 병음료, 분말 타입, 매장에서 판매하는 즉석 음료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신체 불편 완화와 체질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현대 소비자들의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가 큰 상황에서 건강 차 음료는 그들의 편리한 건강관리 수요에 부응하며 소비자의 일상생활 속에서 점점 더 널리 자리 잡고 있다.
현대 생활의 빠른 리듬과 건강에 대한 이념이 깊이 자리 잡으면서 건강 차 음료가 천연적이고 건강한 특성으로 소비자의 선호도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중의약 문화 부흥과 약식동원 이념의 영향 아래 시장에는 점점 더 많은 신제품이 등장하며 중국 건강 차 음료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어, 강력한 발전 동력과 넓은 시장 전망을 보여주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건강 차 티백 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상위 3개 사는 퉁런탕(同仁堂), 이쟝난(忆江南), 차오무팡(草木方)이다. 기업 유형별로 보면, 퉁런탕과 같은 선두 기업들은 풍부한 제품 라인과 강력한 브랜드 영향력을 바탕으로 선도적 지위를 점유하고 있다. 이쟝난, 하오샹니(好想你) 등과 같은 브랜드는 허브티 및 건강류 티백 음료에 집중하여 단일 제품 높은 판매량, 특정 분야 심화 발전의 특징을 보인다. 차리(茶里)와 같은 신흥 브랜드는 젊은 소비자 계층에 주목하며 잎차 제품을 주력으로 하고 건강 차 시리즈를 지속적으로 확장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데이터에 따르면 건강 차 음료를 구매한 응답자 중 여성 그룹이 주를 이루었으며, 36-45세 응답자가 50%를 넘었고, 32.1%의 응답자가 25-35세 사이에 있었다. 건강 차 음료의 주요 수요층은 중년 그룹이지만, 젊은 소비 계층이 점차 건강 차 음료의 중요한 소비 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건강관리 문화가 소수의 관심사에서 대중의 일상으로 확산되고, Z세대 등 신세대 소비 세력이 빠르게 부상함에 따라 소비 계층의 젊어짐이 건강 차 음료 시장의 미래 발전 트렌드가 되었다고 분석한다.
전통적인 한약재를 기반으로 다원적인 효능의 새 조합 탐색
건강 차 음료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중약재를 포함하며, 소비자에게 가장 인기 있는 성분은 금은화(48.63%), 황기(41.58%) 등이다. 소비자의 천연 건강 성분에 대한 선호도가 점점 강화됨에 따라 건강 차 음료 업계는 고전 처방을 계승하면서, 보다 다양하고 효능이 명확한 중약재 조합을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있으며, 소수 인기 원료에 지나치게 의존해 동질화 경쟁을 초래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데이터에 따르면 건강 차 음료를 구매하는 소비자의 50% 이상이 마음을 안정시키고 수면 보조 효과를 얻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 이상의 소비자는 코 건강 강화 및 몸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함으로 나타났다. 건강 차 음료 업계의 발전은 소비자들의 특정 건강 효능에 대한 강력한 수요를 반영하고 있다. 이는 기업들이 제품의 핵심 기능에 정밀하게 집중하고 전통 한방 처방의 현대적 가치를 깊이 발굴하며, 그 천연적이고 온화한 조절 속성을 명확히 전달하여 차별화된 경쟁 우위를 구축할 것을 요구한다.
데이터에 따르면 건강 차 음료에 대한 미래 소비 의향이 증가한다는 응답이 50%를 넘었다. 건강 차 음료 향후 연구 개발 혁신점에 대해 소비자가 가장 관심 있는 사항은 ‘유기농 식품(51.55%)’과 ‘비타민 함량 향상(43.64%)’으로 나타났다. 업계가 제품의 고급화, 투명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실제 건강 증진 가치를 보다 정밀하게 강화해야 하며, 미래 연구개발은 안전성 요구와 기능적 부가 가치를 깊이 염두에 두어 소비자 충성도를 높여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건강 차 음료 업계가 ‘기능 주도’에서 ‘사용자 수요 주도’로의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으며, 그 핵심 논리가 ‘건강 제품 제공’에서 ‘시나리오화 된 건강 수요와 가치 공감 충족’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고 보고 있다. 젊어지는 트렌드와 시나리오화 된 수요의 지속적 세분화, 그리고 가치 인식의 지속적 업그레이드에 따라 업계는 규모 확장에서 고품질 발전으로의 도약을 실현하여 중국 건강 소비 분야의 중요한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 https://www.cnfood.cn/article?id=1972453368250077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