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최근 유럽에서는 비만·심혈관질환 등 생활습관병이 사회적 비용으로 부각되면서 ‘초가공식품(UPF: Ultra Processed Food)’ 섭취 억제가 공중보건 주요 과제가 되었다.
초가공식품은 정제 전분·당·첨가물 사용 비중이 높아 가공도가 큰 식품을 의미하며, 영양 성분이 양호해도 지나친 가공 과정과 첨가물이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EU 차원의 통합 전면표시 영양라벨(FOPL : Front-of-Package Labelling) 제도는 그간 지연돼 왔지만, 2025년 들어 WHO Europe, 보건 NGO, 일부 회원국이 UPF 경고라벨 도입을 요구하며 논의가 본격화됐다.
현재 EU 전체에서 공식 도입은 아직 논의 단계이나, 시장과 소비자는 이미 변화를 체감하기 시작했다.
|
전면표시 영양라벨(FOPL) 예시 |
||
|
|
|
|
|
영양 스코어(Nutri Score) |
건강 별점 제도 (Health Star Ratings) |
하루권장량 (Guidelines for daily allowance) |
|
출처 : Globalfoodresearchprogram |
||
▶정책 규제 동향
- EU 통합 전면표시 영양라벨(FOPL) 현황: 2023~24년 논의가 지연되며 영양스코어(Nutri-Score) 전 EU 도입이 무산된 상태이나, EU 집행위는 2026년까지 새로운 FOPL 제안 재추진 계획을 유지하고 있다.
- 프랑스는 2025년 5월 Nutri-Score 2.0 알고리즘을 개정해 초가공 제품의 점수를 낮추는 방향으로 업데이트했으며, 벨기에, 독일 일부 대형 리테일 체인은 자체적으로 “UPF Free” 존을 설치하거나 시범 라벨을 도입하고 있다.
- WHO Europe은 2025년 5월 UPF 라벨·과세·마케팅 규제 패키지 권고안을 준비하기 위한 전문가그룹을 구성했고, 공중보건 비영리 단체인 유로헬스넷(EuroHealthNet)에서는 경고형 라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 2025~26년 파일럿과 시범표시 확대 → 2027~28년 통합 FOPL 개편 시 UPF 경고·정보 표시가 포함될 가능성이 있는 상태
**현재는 입법·강제 규제가 아닌 정책 검토 및 국가·리테일 차원의 자발적 조치 단계
▶ 시장과 소비자 반응
- GfK(2025)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독일 소비자의 58%가 “경고라벨이 붙으면 구매를 재고한다”고 응답했으며, 프랑스 리테일 TOP5 중 3곳이 ‘덜 가공된 제품(less-processed)’ 존을 신설하면서 가공제품에 대해 고객들의 구매욕이 저하된다는 걸 볼 수 있었다.
- 학술 연구 및 WHO 팩트시트에 따르면, 경고형 라벨은 고당·고염 제품 구매를 평균 7~10% 감소시키는 효과가 보고됐다. 반면 식품업계 단체인 푸드링크유럽(FoodDrinkEurope)은 UPF 정의의 모호성과 NOVA 분류 사용의 과학적 한계를 지적하며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UPF : Ultra Processed Fodd 초가공식품
*NOVA 분류 : 식품을 가공 정도에 따라 4가지 그룹으로 나누는 체계(초가공식품은 4단계)
▶ 한국 농식품 수출기업 영향
(1) 잠재적 위험군
라면·소스류·스낵·즉석식(HMR) → 정제 전분, 향미증진제, 유화제 등 첨가물 사용량이 많아 UPF로 분류될 가능성 높다. 경고 또는 불리한 점수가 부착될 경우, 브랜드 이미지 훼손 및 리스팅 제한이 우려
(2) 중간군
가공도는 높으나 저당·저염·첨가물 축소 등 리포뮬레이션으로 라벨 개선이 가능한 제품
(3) 기회군
김·발효차·저가공 곡물가공품 등 전통 발효식품은 오히려 ‘UPF-Free’ 또는 ‘클린라벨’ 콘셉트로 마케팅 기회 확대
▶ 대응 전략
- 사전 제품 진단 : 성분/공정을 점검해 NOVA 유사 지표로 위험도를 파악
- 레시피 개선 : 당·나트륨·포화지방 및 합성첨가물 축소, 천연 발효·식물성 소재로 대체
- 라벨 시뮬레이션 : Nutri-Score 2.0 및 잠재 경고문구가 적용될 경우의 패키지 디자인·소비자 반응 테스트
- 국가별 정책 모니터링: 프랑스·벨기에·독일 보건부·리테일 지침을 상시 체크
- 브랜딩 전환 : “클린라벨·저가공·발효” 이미지 강화로 리테일 건강 존 입점 협상에 활용
▶ 시사점 및 결론
- EU 차원의 UPF 경고라벨은 아직 공식 규제가 아니지만, 소비 트렌드와 일부 국가 정책 변화가 이미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 한국 수출기업은 제도가 본격화되기 전부터 성분·라벨·브랜딩 전략을 준비해 리스크를 줄이고, 오히려 클린라벨·전통 발효식품 등 경쟁력을 강조할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 참고·출처
https://www.foodwatch.org/en/why-did-nutri-score-vanish-from-the-agenda
chrome-extension://efaidnbmnnnibpcajpcglclefindmkaj/https://www.globalfoodresearchprogram.org/wp-content/uploads/2025/01/Factsheet_FOPL_Jan-2025.pdf
EU ECA Special Report 23/2024
GfK Consumer Survey Germany (2025)
EuroHealthNet Policy Brief (2025)
FoodDrinkEurope (202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