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도네시아] 비타민 시장 트렌드
2025-10-02

[지구촌 리포트]

▶ 인도네시아 비타민 시장 동향

  ‧ 인도네시아 비타민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판매량 기준으로는 다소 완만한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됨

  ‧ 팬데믹 기간 동안 건강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비타민을 사재기하는 소비자가 많았던 것과는 달리, 이후에는 정기적인 섭취보다는 몸이 아플 때만 복용하는 경향이 강해짐

   ‧ 2024년 인도네시아 비타민 시장의 소매 가치 매출은 전년 대비 4% 증가한 IDR 16.4조(약 1조 3천억 원)에 도달했으며, 그 중 종합비타민이 가장 우수한 실적을 보였고, 소매 가치 기준으로 4% 성장한 IDR 8조(약 6,400억 원)를 기록함

  ‧ 종합비타민은 가장 인기 있는 건강보조제이며, 비타민 C와 D는 면역력 강화, 피로 회복, 피부 미용 등 다양한 효능 덕분에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비타민 C와 D 외 기능성 비타민은 주로 고소득층과 같이 건강 의식이 높은 소비자 사이에서만 대부분 소비되고 있기 때문에 수요가 제한되어 있음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 인도네시아 비타민 시장 트렌드

  ‧ 인도네시아 비타민 시장의 핵심 소비층은 중상류층이며, 전반적으로 예방적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비타민 소비가 증가하고 있음 

  ‧ 글로벌 시장에서 비타민을 알약 외에도 액상, 가루, 젤리형, 발포정 등 다양한 제형으로 섭취하고 있지만, 인도네시아 소비자들은 알약과 정제형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함

  ‧ 젤리형 형태는 주로 어린이용으로 마케팅 되고 있어 성인층에서는 큰 인기를 얻지 못하고 있지만 향후 소비자 교육이 확대될 경우 성인을 위한 대체 제형 제품에 대한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음

  ‧ 최근 인도네시아 중상류층 소비자들 사이에선 비타민 섭취 목적이 건강 유지만이 아닌 미용 효과로 확장되고 있음

  ‧ 비타민 C 세럼 제품은 피부 미용을 중시하는 소비자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으며, 플라베테스(Flavettes)는 ‘플라베테스 글로우(Flavettes Glow)’라는 발포정 신제품을 출시해 비타민 C, L-글루타치온, 비타민 E를 혼합해 피부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 면역력 강화를 위한 비타민(C, D, E, B6 등)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체력 유지나 집중력 향상 기능을 강조한 제품도 점차 인기를 얻고 있으며, 스마트폰 사용 증가로 인한 눈 피로와 시력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비타민 A에 대한 관심도 서서히 증가하고 있음

  ‧ 인도네시아 비타민 브랜드 쿨비타(CoolVita)의 경우 틱톡숍에서 활발한 홍보 활동을 진행한 결과 300만 개 이상의 제품 판매를 기록하여 비타민의 디지털 마케팅의 중요성을 입증함

external_image

▶ 인도네시아 내 한국산 비타민 동향

  ‧ 한국의 경우 2024년 기준 인도네시아 비타민 주요 수입국으로 11위를 기록하며 1,859,879 미화달러(약 26억 600만 원)의 수출액을 기록함

  ‧ 인도네시아에서 한국산 비타민 제품은 K-콘텐츠의 영향이 신뢰도와 선호도 측면의 증가로 이어져 인기가 상승하고 있으며, 한국산 비타민은 고품질 원료와 혁신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믿고 섭취할 수 있는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음 

  ‧ 한국산 비타민은 면역력 강화뿐만 아닌 피부 미용을 위한 제품, 어린이를 성장을 위한 제품 등 다양한 제품군이 있어 인도네시아 소비자들의 선택폭을 넓히고 있음

external_image16.
external_image

▶ 시사점 및 결론 

 ‧ 2024년 인도네시아 비타민 시장의 소매 가치 매출은 IDR 16.4조(약 1조 3 천억 원)이며, 종합비타민이 소매 가치 기준 IDR 8조(약 6,400억 원)를 기록하여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함

 ‧ 인도네시아 비타민 시장의 핵심 소비층은 중산층 및 상류층이며, 비타민 섭취 이유가 면역력 강화와 건강 유지만이 아닌 미용 효과로 확장되고 있어 이러한 트렌드는 인도네시아 내에서 웰빙과 뷰티가 점차 통합되고 있음을 보여줌

 ‧ 인도네시아 비타민 시장은 중상류층을 필두로 지속적인 성장을 보일 것이라 예상됨으로, 한국 비타민 수출업체는 건강관리, 면역력 강화, 안구건강, 피부미용에 이점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제품군을 발굴하면 현지시장 진출에 용이할 것이라 사료됨 


 출처

유로모니터(Euromonitor) – 2024 인도네시아 비타민 시장 보고서

https://www.cekindo.com/id/blog/potensi-industri-nutrisi-di-indonesia-dan-peraturannya

Shopee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