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필리핀] 외식 산업 동향
2025-09-30

필리핀 외식 산업 동향

 

20259, 하노이지사

 

키워드 :

필리핀 외식 산업 시장 현황

- 필리핀 외식 산업은 도시화, 가처분소득 증가, 관광 회복 및 한류 확산을 배경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이로 따라 한식당과 K-푸드 콘셉트의 레스토랑·프랜차이즈가 확장되며, 냉동·냉장 원재료(냉동육·냉동해산물), 한국형 소스·양념(고추장·고춧가루·간장·양념류), ··HMR(반조리) 제품, 발효식품(김치·장류) 등에 대한 식자재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동시에 필리핀의 콜드체인 유통망 및 식품 규제가 변동 중이며, 수입·통관 절차의 사전 준비가 성공의 관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됨. 한국 수출업체는 (1) 식품위생·라벨 규정 사전 준수, (2) 현지 대형 유통·음식 서비스 업체 간 B2B 제휴 확보, (3) 콜드체인 역량 검증, 그리고 (4) 한류 마케팅 결합을 통한 프리미엄 이미지 구축을 병행할 필요가 있음

 

필리핀 외식 시장 성장 배경

- 필리핀은 인구 약 1억 명 규모의 내수시장을 보유하며, 도시화와 중산층 확대가 외식 수요를 견인하고 있음. 관광업 회복과 더불어 외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24~`25년 사이 외식 매출 및HORECA (Hotel-Restaurant-Institutional) 부문 수요가 전년 대비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

- K-드라마·K-팝의 영향으로 K-Food에 대한 인지도와 수요가 높아졌음. 한국식 치킨, 삼겹살, 김치 기반 메뉴, 떡볶이 등은 현지 소비자·젊은 층 사이에서 인기 품목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는 외식 업계의 메뉴 개발과 원재료 수급에 직접적 수요를 창출하고 있음. 한국의 소주 수요 증가 사례도 관찰됨

- 한국식 치킨집을 표방한 로컬 프랜차이즈가 확장되고 있으며, Bonchon Philippines`24~`25년에 걸쳐 메뉴를 현지화하면서도 한국 컨셉을 유지, 매장 확장과 신메뉴 출시로 현지 소비자 반응을 견인함(: 떡볶이 등 메뉴 구성 확대 진행). 이와 같은 프랜차이즈의 확장은 안정적이고 규모화된 원재료 수요를 만들어낼 수 있음

- Jollibee 등 대형 로컬 체인이 한시적·정기적으로 한국식 메뉴(양념치킨, K-BBQ 스타일 토핑)를 출시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음. 이러한 협업은 대량 주문처 확보의 기회가 되며, 한국산 양념·소스·시즈닝 공급업체에 대량 공급 가능성을 열어줌. 또한 대형 체인과의 협업은 수입·통관을 위한 안정적 파트너를 확보하는 역할도 함

 

필리핀 외식 산업 주요 수입 품목

- 냉동육/ 냉동가공육: 한국식 바비큐 및 프랜차이즈용 대용량 포장(520kg) 수요가 크며,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 동물질병 관련 규제에 따라 열처리 제품에 대한 수입 요건이 개정되었음

- 냉동·신선 해산물: 해산물 요리가 많은 외식메뉴 특성상 신선도 유지가 핵심사항으로 IQF(개별급속냉동) 제품과 예측 가능한 공급 일정이 중요

- 소스·양념류(고추장, 쌈장, 간장, 양념장): 레스토랑·배달 메뉴용으로 대용량 포장과 맞춤형 레시피(농도·단맛·맵기 조정) 제공을 통한 수출 경쟁력 확보가 필요

- 발효식품(김치, 장류): 한식의 기본 반찬으로서, HACCP·GMP 인증을 갖춘 공급업체 선호, 냉장 보관·유통이 필요

- HMR·반조리(떡볶이 소스, 즉석볶음, 믹스류): 배달·포장 친화 제품으로, 편의성 및 간편한 조리 방식에 따른 수요 증가세 기록 중

- 주류·음료(소주, 막걸리, 주스 등): K-Bar 및 한식당에서 선호, 주류 수입 허가, 주류세·라벨링 규정 확인 필요

필리핀 유통 공급망 현황

- 외식업체의 식자재 조달은 크게 (1) 수입업자 유통사 식당/프랜차이즈, (2) 수입업자(직수입) 사용 매장, (3) 국내 유통망을 통한 구매의 세 가지 형태가 일반적임. 대형 프랜차이즈는 통상 글로벌 소스·원재료를 직거래하거나 현지 총판과 장기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가 많으며, 소규모 식당은 현지 도매 시장이나 소규모 수입업자(리셀러)를 통해 조달함

- 필리핀의 콜드체인 인프라는 최근 확대 추세이며, 정부 및 민간투자를 통한 시설 확충이 진행 중임. Cold Chain Association 자료와 필리핀 농업부(DA) 발표에 따르면 `24~`25년 콜드체인(저장고) 용량이 연간 수십만 톤 규모로 증가하고 있으며, `25DAP3-billion(5,000만 달러) 규모 냉장창고 확충 계획이 발표되어 지방 공급망 개선이 예상됨. 다만 수도권(Metro Manila)·세부·다바오 등 대도시에 집중되어 있어 지방으로의 물류에는 여전히 제약이 존재하며, 수출업체는 현지 3PL (temperature-controlled warehousing) 점검을 통해 품질보증을 확보해야 함

시사점

- 한국계 프랜차이즈 확대 및 현지 업체들과 제휴한 한국식 제품을 소개하는 마케팅 전략 수입 후 현지 소비자들에게 다가가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

- 현지화 전략 및 필리핀에서 활성화 되어있는 대형 하이퍼마켓 및 마트와의 제휴를 통해 초기 진행 시에 충분한 사전 홍보 기간을 가지고 진행하는 편이 좋을 것으로 예상됨

출 처

- DA to build P3-billion cold storage facilities for vegetables and high-value crops / DOA / 2025.01.27.

- Philippines: Food Service Hotel/Restaurant/Institutional (HRI) Annual Report 2024 / USDA / 2024.12.17.

- Market Research : Philippines Foodservice Market Size, Share & Forecast 20242032

- Administrative Order and Import Permit Guidelines / 필리핀 FDA

 

문의처

- aT 하노이지사 +84 24-6282-2987 / 필리핀 수출모니터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