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럽] 덤플링 퓨전 트렌드와 한국 만두의 수출 확대 기회
2025-09-26

배경

 최근 유럽 식품시장에서 퓨전 요리와 간편식(HMR, Ready-to-eat) 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특히 덤플링(Dumpling, 만두류)은 아시아·동유럽을 막론하고 전통적으로 즐겨온 음식으로, 현대적 조리법과 다양한 속재료를 결합한 퓨전 덤플링형태로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유럽 소비자들은 여전히 피자·파스타·버거 등 전통적 편의식을 선호하지만, 동시에 새로운 맛과 텍스처에 대한 수용성이 커지고 있으며, 아시아 음식, 특히 한국·일본·베트남 요리에 대한 관심 확산과 맞물려 덤플링은 간편하면서도 색다른 경험을 제공하는 메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IMR 리서치 리포트에 따르면, 독일 만두류 시장은 2024년 기준 12,500만 달러, 2025~2032년 연평균 약 5~6% 성장이 전망되며, 식물성, 글루텐 프리, 프리미엄 퓨전 제품군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독일 냉동 만두류(덤플링) 시장 규모 및 성장률

출처 : IMG 마켓 리서치 2025 리포트


 

유럽 내 덤플링 트렌드

(1) 퓨전 덤플링의 인기

네덜란드 Moddiamo2025 식품 트렌드 보고서에서는 “Dumplings with a twist”를 주요 키워드로 선정했다. 기존 아시아식 만두, 네팔 모모, 폴란드 피에로기(pierogi) 등 전통 덤플링이 트러플, 치즈, 향신료 등 현지 재료와 결합하면서 고급화 및 퓨전화 전략을 통한 인기가 계속해서 늘고 있기 때문이다.

 

                                   <퓨전 만두류(덤플링) 사례>


페퍼로니 피자 만두

비건 양배추 만두

출처 : hungry girl 레시피북

출처 : plant you 홈페이지


 

(2) 소비자 요구 변화

- 편리성: 냉동/즉석 조리형 제품의 판매 증가

- 건강·환경: 채식·비건·식물성 속재료에 대한 수요 확대, 글루텐 프리 제품 인기

- 경험적 가치: 바삭한 식감(crunch), 다양한 토핑, 시각적 매력에 대한 관심

 

(3) 국가별 특징

- 독일 : 전통적 감자·빵 기반 독일식 덤플링(Knödel)과 아시아식 만두가 공존. 비건 만두가 연평균 12% 이상 성장하며 주요 카테고리로 부상

- 폴란드 : 피에로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트러플·치즈 필링 제품이 고급 레스토랑과 카페에서 인기

- 네덜란드: 퓨전 음식 문화가 강해, 아시아식 만두 + 로컬 재료 조합이 SNS·스트리트푸드에서 빠르게 확산

페퍼로니 피자 바오번과 같은 퓨전 요리의 수요가 있음

 

한국 만두의 해외 시장 진출 현황

(1) 수출 확대 추세

한국 냉동 만두 수출은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증가해 왔다.

KATI에 따르면 2022년 약 7.61백만 달러 2023년 약 8.97백만 달러로 15% 증가했으며, 유럽 덤플링 시장이 연평균 7%대 성장세를 보이면서, 한국산 만두 수출 확대 잠재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현지화 제품 개발: 유럽 소비자 입맛을 고려해 얇은 피, 채소 중심 속재료, 간편조리(전자렌지) 강조

- 식물성 옵션: 비건·채식 인구 증가에 대응, 식물성 단백질 기반 만두 개발

 이러한 국내 제조사의 현지화된 식품이 개발되면서 수출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독일 내 판매중인 비건 한국 만두>

 


다소미 비건 김치만두

비비고 비건 갈비만두

비비고 비건 잡채 찐만두(전자렌지용)

코앤코 비건 버섯만두

5.95 / 420g

3.89 / 300g

3.98 / 168g

7.99 / 420g

출처 : 다와요홈페이지 


 

(2) 수출 허가 및 규제 측면

유럽·영국으로의 열처리가금육 등 축산 기반 제품 수출 허가가 확대되며 시장 진입 장벽 완화되었으나, 여전히 국가별 위생·라벨링 규제가 엄격하여 기업 차원의 대응 필요하다.

 

한국 만두의 시장 포지셔닝

유럽에서 한국 만두는 단순히 아시아 음식의 한 카테고리가 아니라,

K-푸드 한류 확산

아시아식 덤플링 전반에 대한 관심

편리성과 건강 트렌드에 부합하는 제품 포지셔닝 덕분에 트렌디한 메뉴로 부상



히 비비고 브랜드 인지도가 커지면서, ‘K-푸드=신뢰할 수 있는 간편식이라는 이미지를 강화했다. 다만, 전통 만두(육류 중심)보다 퓨전·채식·프리미엄 옵션에서 소비자 반응이 더 긍정적이다.

 

시사점

유럽 내 덤플링(만두류) 시장은 전통적 소비 기반에 더해, 퓨전과 혁신을 통해 새로운 성장 국면에 들어서고 있다. 한국 만두는 이러한 흐름과 맞물려 간편성, 건강성, 한류 브랜드파워 라는 장점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 중이다. 앞으로도 현지화 + 퓨전 전략 + 식물성 옵션을 강화한다면, 한국 만두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유럽 식품시장에서 지속 가능한 카테고리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출처

Moddiamo Food Trends 2025 (Dumplings with a twist)

https://moddiamo.nl/en/blogs/food-trends/foodtrends

https://www.businessresearchinsights.com/market-reports/dumplings-market-122175

https://introspectivemarketresearch.com/reports/germany-frozen-dumplings-market

https://www.linkedin.com/pulse/germany-fresh-made-dumplings-market-size-trends-r3wlf

https://www.datainsightsmarket.com/reports/dumplings-1246660

https://www.thinkfood.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