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베트남] 소비자 트렌드
2025-09-23

[지구촌 리포트]

▶ 온라인으로 전환되는 베트남 소비자

  ◦ 베트남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시장으로, 이에 따라 소비자의 행동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고객이 원하는 제품, 서비스, 정보 검색 방식,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접하는 시간 및 장소도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다.

  ◦ 구매력을 가진 소비자들은 단순히 더 많은 소비를 하는 것에서 나아가 지출 방식을 바꾸고 있으며, 전자상거래가 소매 산업을 바꾼 것처럼 소셜 커머스 (Social Commerce)가 향후 소비 판도를 바꿀 키체인저로 부상하고 있다. 지난 5년간 ‘Social Commerce’키워드의 검색량이 65% 증가하였으며, 소비자는 SNS와 즉시 구매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기를 원한다.

  ◦ 이에 발맞춰 베트남의 주요 온라인 커머스 업체들은 라이브커머스를 통해 상품을 홍보하고 실시간 판매하고 있으며, 이는 동남아시아에서 매우 대중화된 판매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단순 판매 채널을 넘어 콘텐츠·커뮤니티·전자상거래가 결합된 새로운 소비 생태계를 의미한다.

external_image

▶ 빠르고 집 앞까지 배송을 원하는 소비자

  ◦ 홈쇼핑은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기존 온라인에서만 살 수 있었던 것으로 여겨졌던 제품들은 이제 고객의 집 앞까지 배송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소비자들은 집 앞까지 배송이 가능하다는 인식을 가지게 되었으며, 당일 배송을 지원하는 업체의 구매율이 다른 업체 대비 더욱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 소비자는 모든 카테고리의 상품이 배송될 수 있어야 한다고 기대하며, 기업들은 다양한 물류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빠른 배송을 지원하고 있다. 

external_image

▶ 지속가능한 제품 소비 확대

  ◦ PwC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지속 가능성 기준을 충족하는 제품에 평균 9.7% 더 지불할 의향을 보냈으며, 이는 단순한 구매 행태의 변화가 아니라, 자신이 선택하는 브랜드가 환경적·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는지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반대로 Deloitte 조사에서는, 30%의 소비자들이 윤리적 문제나 환경적 영향에 대한 우려로 특정 브랜드나 제품 구매를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기업의 책임 있는 지속 가능성 전략은 소비자 행동에 가장 중요한 트렌드 중 하나가 될 전망이다.

  ◦ 대나무 소재를 활용한 제품의 검색 및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성과 관련된 탄소 회계(Carbon Accounting)의 관련 검색 또한 증가하고 있다. 전 세계 75% 국가가 넷 제로(Net Zero) 목표를 채택했으며, 넷 제로를 빠르게 달성하는 기업들은 규제 대응 뿐 아니라 소비자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다.

external_image

▶ 인플루언서 마케팅 영향 확대

  ◦ MZ세대는 오래전부터 인플루언서를 통해 새로운 제품을 발견하고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를 선택해 왔으며, 이제는 가장 어린 세대인 알파 세대의 일부도 이러한 흐름에 합류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Z세대는 인플루언서 계정의 영향력이 소매업체 공식 계정보다 구매 결정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답변하였다.

  ◦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여전히 성장하는 마케팅 채널이자 많은 마케터가 신뢰하는 전략으로 남아있으나, 소비자가 인플루언서와 상호작용하고 구매하는 방식에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중 하나는 특히 마이크로 인플루언서 (팔로워 1만~10만 명)를 통해 느껴지는 더욱 가까운 연결감으로, 지난 5년 동안 “micro influencers”라는 검색량이 48% 증가했으며, 이는 브랜드가 이들을 통해 개인화된 관계를 구축하고, 자주 소통하며, 높은 참여율을 유지하려는 추세를 보여준다.

external_image

▶ 반려동물 지출 확대

  ◦ 전 세계 반려동물 가구 시장은 현재 17억 4천만 달러 규모로 평가되지만, 이는 반려동물 케어 산업 전체 지출 중 일부에 불과하며, 최근에는 “네 발 달린 가족 구성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기꺼이 큰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제품이 무엇이든 간에 반려동물이 더 행복하고 건강해질 수 있다면 반드시 구매할 고객층이 존재하고 있다.

  ◦ 코로나19 팬데믹은 분명히 하나의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며 반려동물과의 유대감이 깊어졌고, 이에 따라 고급 제품과 서비스를 기꺼이 선택하는 소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 트렌드는 팬데믹 이전부터 이미 형성되었으며, 사회가 정상화된 이후에도 여전히 강력하게 이어지고 있다.

  ◦ 이 흐름은 또한 가족 구조 변화와 맞닿아 있으며, 여러 국가에서 출산율이 인구 유지 기준 이하로 떨어지며 자녀 대신 반려동물을 선택하고 이들에게 가족과 같은 애정과 예산을 투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반려동물 산업은 단순한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현대 소비 패턴과 사회 구조 변화가 결합된 장기적 성장 시장이라 할 수 있다.

▶ 시사점

  ◦ 브랜드의 소셜 커머스 시대에 어떻게 적응할지에 대한 대응 전략이 필요하며, 다양한 플랫폼과의 제휴를 통해 제품 홍보 효과를 확대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소비 성향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식품 시장에서 또한 단순한 할인 행사나 판매 채널 확장만을 통해서는 차별점을 주기가 어려워 고객 경험 최적화 및 온․오프라인 통합, 지속가능한 가치 창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고객의 소비 동향을 빠르게 파악하고 적응하며, 장기적으로 고객의 경험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새로운 소비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적용할 수 있도록 유연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출  처

  ◦ 10 xu hướng hành vi người tiêu dùng toàn cầu năm 2025 và 2026 / Ori Marketing Agency / 2025.08.22. 

  ◦ Khám phá 6 xu hướng tiêu dùng đáng chú ý của người Việt năm 2025 / Ori Marketing Agency / 2024.12.30.

  ◦ 5 hành vi tiêu dùng trái ngược đáng chú ý năm 2025 / Ori Marketing Agency / 2024.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