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리포트]
▶ 인도 유기농 식품 시장 규모 및 성장 전망
· 인도 유기농 식품 시장은 2024년 86억 3천만 달러(한화 약 11조 9천억원) 에서 2033년 219억 9천만 달러(한화 약 30조 5천억원)로 성장할 전망이며, 2025~2033년 기간 동안 연평균 10.94%의 성장률(CAGR)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성장세는 건강과 웰빙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 확산, 화학 농약과 비료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 증대, 그리고 도시화에 따른 생활 패턴 변화가 맞물리며 촉발되고 있다
· 인도 정부는 국가 유기농 생산 프로그램(NPOP)을 통해 농가에 보조금과 인증 비용을 지원하며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유기농 과일, 채소, 유제품, 곡물, 육류 및 유기농 가공식품이 슈퍼마켓, 유기농 전문 스토어, 온라인 등을 통해 접근성이 높아지며 전국적으로 소비가 확산되고 있다.

▶ 인도 유기농 식품 수출 확대 및 글로벌 기회
· 인도는 내수 시장 성장에 더해 글로벌 유기농 식품 시장에서도 입지를 넓히고 있다. 유기농 차와 강황, 쿠민 등 각종 향신료와 식용유 원료 곡물(참깨, 해바라기씨, 대두 등)은 우수한 품질과 건강에 대한 탁월한 효능이 알려지며 해외 수요가 높아져 수출이 확대되는 추세다.
· 여기에 더불어 국제 인증(India Organic, USDA Organic, EU Organic 등)을 통한 품질 보장은 인도산 제품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무역 전시회 참가와 교역 협정 확대를 통해 수출 시장 다변화를 촉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도의 유기농 식품 인지도는 CLMV를 포함한 아시아 신흥국과 선진국 시장에서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 인도는 글로벌 공급망에서 점차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 산업 동향 및 기업 활동
· 인도의 유기농 식품 산업은 향신료, 곡물, 콩류를 비롯해 쌀과 펄스류, 차류, 건강보조제 등 폭넓은 제품군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기본 식료품에서 가공식품으로까지 포트폴리오가 확장되는 한편, 차·허브와 건강보조제를 중심으로 한 프리미엄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 또한 곡물, 콩류, 오일류, 향신료와 스낵류까지 다양한 품목군이 내수와 수출 모두에서 비중을 넓히고 있다. 이 같은 제품 다변화와 함께 국내외 유통망 확장, 가공·포장 기술 고도화, 차별화된 브랜드 전략이 결합되면서 인도 유기농 식품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 또한 도시 중산층과 교육 수준이 높은 소비층이 핵심 고객군으로 자리잡으면서 프리미엄 제품군에 대한 지불 의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유기농 식품의 시장 확대를 뒷받침하는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온라인 유통망 강화와 전문매장 증가 역시 소비자 접근성을 높이며, 유기농 제품의 시장 점유율 확대를 지속적으로 견인하고 있다.

▶ 인도 유기농 식품의 국제 인증과 시장 지속가능성
· 인도 유기농 식품 시장에서 국제 인증(India Organic, USDA Organic, EU Organic 등)은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고 글로벌 수출 시장에 진입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한다. 최근 인도 내 소비자들 역시 공식 인증 마크를 구매 기준으로 삼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인증 여부는 국내외 시장 모두에서 중요한 차별화 포인트가 되고 있다.
· 동시에 전통적 관행 농업이 초래한 토양 오염으로 인한 비옥도 저하, 해충 저항성 증가 등 부정적 결과가 사회적으로 문제시되면서, 유기농 식품 산업이 지속가능성과 환경 친화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인도 유기농 식품 시장은 단순히 규모 확대에 머물지 않고, 지속가능한 농업 모델로 자리매김하며 정부 정책과 소비자 인식 변화라는 긍정적인 이미지와 소비자들의 지지를 기반으로 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유기농 식품에 대한 관심도는 앞으로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 시사점
· 인도의 유기농 식품 시장은 내수 확대와 수출 증대를 동시에 경험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건강·친환경 트렌드 확산, 정부 지원, 국제 인증 제도의 확산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생산비용 부담, 해충 관리, 품질 신뢰도 저하와 같은 리스크는 여전히 잠재적 위험 요인이다.
· 인도의 유기농 식품 시장의 성장과 소비자들의 수요 확대는 K-푸드가 건강·웰빙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는 기회로 이어질 수 있다. 인도 소비자들이 저당, 저지방, 식물성 원료 등 건강 지향적인 선택을 중시하고 있으며, K-푸드 제품 중 김치, 곡물 스낵, 발효 음료 등은 이러한 수요와 잘 부합한다. 또한 한류를 통해 형성된 긍정적인 한국 식품 이미지와 결합할 경우, 프리미엄·웰빙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다.
▶출처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25/09/08/3146180/0/en/India-Organic-Food-Market-Trends-and-Company-Analysis-Report-2025-2033-Featuring-Suminter-Nature-Bio-Foods-Sresta-Natural-Phalada-Agro-Research-Mehrotra-Morarka-Nature-Pearls-Consc.html
[그림 1]
https://www.globenewswire.com/news-release/2025/09/08/3146180/0/en/India-Organic-Food-Market-Trends-and-Company-Analysis-Report-2025-2033-Featuring-Suminter-Nature-Bio-Foods-Sresta-Natural-Phalada-Agro-Research-Mehrotra-Morarka-Nature-Pearls-Consc.html
[그림 2]
https://suminterindiaorganics.com/products/private-label/
[그림 3]
https://naturebiofoods.organic/organic-cereal-grains/
[그림4]
https://organicindia.com/?srsltid=AfmBOopuwl1IMTLgPHxgXVfysifd7-aTLLMH_wn26rBj2VdpcaAE-pL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