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리포트
1. 브라질 식물성 유제품 시장 개요
브라질에서는 전체 인구의 약 51%가 유당 불내증을 발현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웰빙을 추구하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식물성 유제품, 즉 대체유제품 시장의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다.
‧ 브라질의 식물성 유제품 시장 소매판매액은 2023년에 6억 8,210만 헤알 (한화 약 1조 7,470억 원),, 2024년에는 7억 4,960만 헤알 (한화 약 1조 9,230억 원)을 기록했다.
‧ 해당 시장은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2024년 소매판매액은 전년 대비 9.9% 증가했다. 이후 2025년부터는 두 자릿수 성장률을 유지하며 2029년에는 소매판매액이 12억 8,820만 헤알 (한화 약 3조 3,06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2024년 기준, 브라질 식물성 유제품 시장에서는 식물성 우유가 7억 4,780만 헤알(한화 약 1,920억 원)의 판매소매액으로 시장을 주도했다. 그 뒤를 이어 식물성 요거트, 치즈 등의 순으로 판매액이 집계되었으며 이러한 시장 점유율 구도는 2019년부터 2029년까지 큰 변동 없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2. 식물성 유제품 시장 동향
‧ 2024년 브라질 식물성 유제품 시장의 성장은 2023년보다 더 뚜렷하게 가속화되었으며, 그 배경에는 건강·웰빙 트렌드의 확산과 유제품과 유사한 맛·식감을 구현한 지속적 혁신이라는 두 가지 핵심 요인이 있다. 특히 단백질 강화, 비타민·미네랄 보강 등 기능성을 강조한 제품과 귀리·견과류 기반의 프리미엄 제품이 소비자의 주목을 받고 있다.
‧ 주요 기업과 브랜드들은 연유, 동물성 생크림, 요거트와 같은 브라질 식문화 속 필수 유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식물성 제품 개발을 핵심 성장 전략으로 삼고 있으며, 협업을 통해 건강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방향으로 시장을 확장하고 있다.
‧ 세부 카테고리별 동향
■ 식물성 우유 (Plant-based Milk)
‧ 2024년 시장 규모는 7억 4,780만 헤알(한화 약 1,920억 원)로 전체 식물성 유제품 시장의 핵심 카테고리다.
‧ 2013~2020년까지는 성장 부진과 다수의 역성장을 겪었으나, 2021년에 +6.2%로 전환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이후 2022년(+15.6%)과 2023년(+10.7%)을 거쳐 2024년에도 +9.9% 성장세가 이어졌다.
‧ 2024년부터 2029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은 약 11%로 전망되며, 2029년에는 시장 규모가 12억 8,350만 헤알 (한화 약 3,47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 식물성 요거트 (Plant-based Yoghurt)
‧ 2024년 브라질 식물성 요거트 시장 규모는 180만 헤알 (한화 약 4.9억 원)이며, 전체 시장 내에서는 소규모지만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부문이다.
‧ 2016~2020년 큰 폭의 역성장을 기록했으나, 2021년 이후 점차 회복해 2023년 +11.4%, 2024년 +26.4%로 강한 반등을 이루었다.
‧ 2024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약 22%로 예상되며, 2029년 시장 규모는 약 470만 헤알 (한화 약 12.7억 원)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 식물성 아이스크림 (Plant-based Ice Cream)
‧ 2024년 시장 규모는 8840만 헤알 (한화 약 22.7억 원)로 집계되었으며, 전년 대비 10% 성장을 기록했다.
‧ 2018년 처음 통계가 집계된 이후 2019년에 +36%로 급성장했으나, 2020년 –3.5%로 잠시 주춤한 뒤 2021년 이후 다시 플러스 성장을 이어왔다.
‧ 2024년부터 2029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은 약 11.8%로 전망되며, 2029년 시장 규모는 약 1,500만 헤알 (한화 약 40.5억 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 아직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지만, 프리미엄·건강 지향 콘셉트와 다양한 맛 혁신을 통해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 참고: 식물성 아이스크림은 유제품(Plant-based Dairy) 카테고리와는 별도로 집계되는 항목이다.

3. 브라질 식물성 유제품 브랜드 점유율
‧ 2024년 브라질 식물성 유제품 시장의 브랜드별 점유율을 보면, Ades(35.7%)와 A Tal da Castanha(23.7%)가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확고한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 그 뒤를 이어 Silk(4.3%), Mais Vita(4.1%), Isola Bio(3.2%), NesFit(2.1%) 등이 중위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Purity(1.5%), Taeq(1.0%), Batavo(0.9%), Sufresh Soyos(0.4%), Tonyu(0.4%)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점유율을 기록했다.
‧ 소규모 브랜드들이 다수 존재하여 기타(22.7%)의 비중도 상당히 높은 편으로, 이는 시장이 여전히 다원화된 경쟁 구조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한다.

‧ 브라질 식물성 음료 시장은 과일 맛 제품이 핵심을 이루고 있으며, 주요 브랜드인 Ades, Mais Vita, Mupy 등은 사과(maca), 오렌지(laranja), 딸기(morango), 포도(uva)와 같은 전통적인 과일 맛 식물성 음료를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다.
‧ 이러한 맛들은 브라질 소비자에게 가장 익숙하고 대중적인 선택지로 자리 잡아, 특히 가족 단위와 어린이 소비층을 중심으로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으며 ‘유당 대체재’라는 기능적 측면을 넘어, 웰빙 트렌드와 친숙한 과일 맛 선호가 결합된 시장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4. 브라질 식물성 유제품 시장 전망
(A) 가공식품화와 건강성 논란
‧ 식물성 유제품은 기존에 ‘자연적이고 건강한 제품’으로 인식되었으나, 최근 가공 공정과 첨가물 사용이 늘어나면서 초가공식품 이미지가 강화되고 있다.
‧ 특히 Nude 브랜드 귀리 기반 우유에서 높은 당과 탄수화물 함량이 확인되며 건강성 논란이 불거졌고, 이는 당뇨 환자나 건강 관리층 사이에서 소비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이러한 현상은 제품을 ‘자연·클린라벨’과 ‘가공·기능성 강화’로 더욱 뚜렷하게 구분짓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B)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
‧ 현재 시장의 중심은 식물성 우유와 요거트지만, 향후 치즈·스프레드·디저트류로의 확장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 Superbom, Vida Veg 등은 이미 식물성 모짜렐라, 파르메산, 크림치즈, 무스 등 다양한 제품군을 출시하며 새로운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 이러한 카테고리 확장은 브라질 식문화 전반에서 식물성 대체재가 주류로 자리잡는 촉진제가 될 전망이다.
(C) 기능성 강화와 프리미엄화
‧ 단백질 강화, 비타민·미네랄 보강 등 기능성 부여는 고가격 전략을 정당화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 Vida Veg의 단백질 강화 요거트는 일반 요거트보다 두 배 비싸지만, 건강·영양 가치를 인정받으며 소비자 충성도를 확보하고 있다.
‧ 앞으로 기능성 강화를 통한 프리미엄 포지셔닝은 시장 경쟁 우위를 좌우할 핵심 전략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시사점
우유가 전 세계에서 옥수수 다음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식품이지만 상당수가 유당 불내증을 겪고 있어 전통적인 유제품 소비에는 구조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건강·윤리적 가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높아지고, 웰빙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이 확산되면서 식물성 유제품은 강력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더불어 기술 발전을 통해 맛과 식감이 실제 유제품에 근접한 제품들이 등장하면서, 소비자 수용성이 크게 높아지고 시장 성장의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두유·귀리 기반 음료나 발효식품에 강점을 지닌 한국 식품 기업들의 해외 확장 전략에서 참고할 만한 사례로 볼 수 있다.
▶ 출처
‧ https://sindusfarma.org.br/noticias/empresas-foco/exibir/21170-intolerancia-a-lactose-afeta-mais-de-metade-dos-brasileiros
‧ Euromonitor
- Plant-Based Dairy in Brazil – Country Report
- Plant-based Milk in Brazil – Datagraphics
- Plant-based Yoghurt in Brazil – Datagraphics
- Plant-based Ice Cream in Brazil - Datagraphics
‧브랜드 로고 출처
- https://mundodasmarcas.blogspot.com/2008/06/ades.html#google_vignette
- https://nossomeio.com.br/a-tal-da-castanha-completa-10-anos-com-redesign-de-logo-e-embalagens/
- https://mundodasmarcas.blogspot.com/2022/08/silk.html#google_vignette
- https://www.newdayrio.com.br/product-page/suco-de-soja-mais-vita-1l
- https://www.isolabio.com/pt-pt/
- https://engarrafadormoderno.com.br/materia-principal/nestle-estle-amplia-linha-de-bebidas-vegeta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