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미국] 트럼프 행정부, 글루텐 함유 식품 표시 의무화 검토
2025-09-12

트럼프 행정부가 식품 포장에 글루텐 함유 여부를 의무적으로 표시하는 방안을 추진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는 오랜 기간 준비해 온 ‘Make America Healthy Again(미국을 다시 건강하게, MAHA)’ 전략 보고서에 포함된 정책 아이디어 가운데 하나로, 지난 9일 백악관이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 식품의약국(FDA)은 특정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 예를 들어 셀리악병 환자에게 문제가 되는 글루텐이나 식품 알레르기 유발 성분에 대해 식품 포장에 표시 의무를 둘 수 있는 방안을 권고할 예정이다.


이번 보고서는 아동 건강 개선을 위한 백악관 정책 과제를 담은 20쪽 분량의 문건으로, 규제보다는 민간 부문의 자율적 참여와 소비자 교육 확대를 강조하고 있다. 가공식품과 인공 색소 문제 등 여러 주제가 다뤄졌지만, 규제 가능성이 언급된 항목은 글루텐 표시 의무화와 아동 대상 불건강 식품 마케팅 제한 등 소수에 불과하다.

FDA는 이와 함께 초가공식품(ultraprocessed foods)의 정의 마련과 ‘GRAS(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되는 성분)’ 제도의 폐지 등 기존에 발표한 과제도 계속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미국에는 약 200만 명이 셀리악병을 앓고 있다. 이는 빵, 파스타, 케이크 등 글루텐을 함유한 식품 섭취로 촉발되는 만성 소화 및 면역 질환이다. 현재 미국 식품업체들은 ‘글루텐 프리(Gluten-Free)’ 문구를 자발적으로 표시할 수 있지만, 글루텐이 실제로 들어 있는지 여부를 밝힐 의무는 없다.

호주와 뉴질랜드는 이미 글루텐 함유 표시를 법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반면 미국에서는 아홉 가지 주요 알레르기 유발 성분(우유, 달걀, 땅콩, 견과류, 밀, 대두, 생선, 갑각류, 참깨)만 표시가 의무화되어 있으며, 글루텐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밀은 글루텐을 함유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만 표시가 이뤄지는 실정이다.

이번 제안이 실제 규제로 이어질 경우, 식품업계는 포장 디자인 변경 등 비용 증가에 직면할 수 있다. 동시에 향후 다른 성분들에 대한 표시 요구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소비자 알권리 강화와 환자 보호 차원에서는 긍정적 변화가 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보고서에는 총 128개 전략이 담겼으며, 대체로 FDA가 이미 발표했던 목표를 재확인하는 성격이 짙다. 그러나 이번 글루텐 표시 논의는 향후 추가 규제 논쟁으로 번질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출처 : 
https://www.fooddive.com/news/gluten-disclosure-requirement-labels-maha-report/759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