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뉴질랜드] 유전자 변형(GM) 식품 라벨 규제 완화
2025-09-08

external_image



▶ 주요내용



‧ 뉴질랜드에서 식품 라벨 규제 완화와 함께 진행 중인 유전자 기술을 활용한 식품에 대한 규제 완화가 소비자들의 시험대에 오를 예정임


‧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청(FSANZ)은 금년 6월, 공공 의견 수렴 이후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법 내 유전자 변형 식품의 최신 정의 검토를 승인함


‧ 7월 말 뉴질랜드와 호주 정부는 새로운 DNA가 도입되지 않은 경우, 유전자 편집 등 신육종 기술을 사용한 식품에 대해 ‘유전자 변형(GM)’ 표기를 면제하기로 결정함


‧ 뉴질랜드 식품안전부 장관 앤드류 호가드(Andrew Hoggard)는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청의 제안에 대해 공공 의견 수렴 과정에서 유전자 공학을 신뢰하지 않는 일부 단체와 개인들로부터 강한 반발이 있었다고 밝힘


‧ 유전자 변형 또는 신육종 기술 사용 여부 표시는 생산자 자율에 맡기고, 소비자는 유기농 등 선호에 따라 선택하면 되며, 유전자 변형 생물(GMO) 섭취로 인한 건강 문제는 보고된 바 없음


‧ 뉴질랜드의 유전자 변형 식품 반대(GE-Free NZ) 단체 대변인 존 카라피엣(Jon Carapiet)에 따르면 라벨링 완화가 소비자의 정보 기반 선택권을 빼앗는 비윤리적 조치임


‧ 존 카라피엣은 소비자가 유기농 식품을 매일 구입할 금전적 여유가 없으므로, 소비자 선택권 보장을 위해 슈퍼마켓이 자발적으로 유전자 변형 식품 사용 여부를 라벨에 표기해야 한다고 주장함


‧ 뉴질랜드 주요 슈퍼마켓 체인인 푸드스터프스(Foodstuffs) 및 울워스(Woolworths)는 유전자 변형 성분 포함 여부와 관계없이 식품 라벨링 규정을 철저히 준수하고, 규정 변경 시에도 소비자에게 정확하고 투명한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밝힘



▶ 시사점 및 전망



‧ 뉴질랜드의 유전자 변형 식품 라벨 규제 완화는 호주와 기준을 맞추는 조치로, 향후 유전자 변형 식품 유통 확대를 촉진할 것으로 예상됨


‧ 유전자 기술 활용 식품의 표시 여부를 생산자 자율에 맡기면서, 유통업계의 자발적 투명성 확보 노력이 중요해질 전망임


‧ 한국 수출업체들은 한국산 가공식품 및 원재료 수출 시, 뉴질랜드 소비자의 신뢰 확보를 위해 유전자 변형 여부, 원산지, 생산 공정의 투명성을 강조하고 현 규제 변화를 지속적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음



*출처 : rnz.co.nz(2025.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