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중국] 2025-2026 아이스크림 산업 소비 트렌드
2025-09-05

최근 아이미디어리서치(iiMediaResearch)가 발표한 ‘2025-2026 중국 아이스크림 소비 트렌드 및 사례 연구 보고서’(이하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아이스크림 시장 규모는 1,835억 위안에 달했으며, 2030년까지 2,334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에는 산업 집중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전통 기업은 디지털 전환과 혁신을 가속화해야 하고, 신생 브랜드는 차별화된 포지셔닝을 강화하고 세분화된 수요에 집중해야만 치열한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성장을 실현할 수 있다.


  2017년 이후 중국의 1인당 아이스크림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항상 아시아태평양지역의 1인당 소비량을 상회했다. 2024년은 3.3kg에 달했지만, 전 세계 평균(약 4.8kg)에는 아직 미치지 못했다. 한 전문가는 중국 아이스크림 시장이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미개발 잠재력이 커서 제품, 기능, 소비장면(시나리오)의 혁신을 통해 소비 잠재력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중국 아이스크림 시장 규모는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했다. 2024년 시장 규모는 1,835억 위안이었으며, 2027년에는 2,000억 위안을 돌파할 전망이다. 레저 식품에 대한 수요 증가, 기업의 제품 혁신에 따른 소비 촉진, 구매 채널의 편리화가 시너지 효과가 되어 중국 아이스크림의 시장 규모가 앞으로도 꾸준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 5월 기준, 중국 내 아이스크림 관련 기업은 42,203개이며, 주로 화동(7,401개), 화남(6,646개), 동북(6,298개), 서남(6,248개)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이는 지역의 역사적 기반, 원재료 우위, 소비 수요와 관련이 있다. 각 지역별로 특색있는 지역 소비 구조를 형성했으며, 이에 기업들은 각 지역의 소비 특징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지난 8월 도우인(抖音) 내 아이스크림 연관검색어 ‘예런셴셩(野人先生)’, ‘딸기’, ‘아누어(阿诺)’ 및 ‘케이크’, ‘맥도널드’의 인기지수가 비교적 높았다. 연관검색어 인기지수는 아이스크림 시장의 세분화 추세를 반영한다. 예를 들면, 프리미엄 아이스크림 브랜드인 예런셴셩(野人先生)과 수제 아이스크림 아누어(阿诺)는 건강과 관련된 긍정적인 소비체험 제공 통해 소비자를 유치하고, 맥도널드 등의 저가 아이스크림은 필수적인 수요 영역을 확고히 차지하며, 딸기 맛과 케이크 형태는 혁신의 초점이 되고 있다.


  60% 이상의 소비자가 아이스크림 구매하는 주요 이유는 합리적인 가격,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꼽았고, 약 40%는 매력적인 패키지, 좋은 맛을 주요 이유로 들었다. 소비자들은 아이스크림 가격에 비교적 민감하기에 기업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품 가격을 낮추거나 제품 맛, 패키지, 브랜드, 상품평판 등을 업그레이드하여 제품 가치를 높여야 한다.


  동시에, 소비자가 아이스크림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와 구매도는 기본적으로 정비례 관계를 보인다. 하겐다즈, 네슬레, 멍뉴(蒙牛) 등의 선도 브랜드들은 높은 인지도로 높은 구매율을 이끌어내고, 중간 규모 브랜드인 바시(八喜), 차오러즈(巧乐兹), 멍롱(梦龙) 등은 어느 정도 인지도가 있지만 구매도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 중간 규모 기업들은 인지도와 구매도 사이의 괴리를 해결해야 하며, 소규모 브랜드들은 독창적인 포지셔닝으로 틈새시장을 돌파해야 한다.


  이외에 아이스크림 판매 채널은 오프라인에 집중되어 있으며(약 74.6%), 이는 즉시 소비 속성이 채널 배치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한다. 대형마트(43.1%)와 체인 편의점(37.3%)의 소비자 접근도가 높은 위치는 아이스크림이 즉시 소배라는 특성과 밀접하다. 이에 기업들은 오프라인 채널의 세부화된 운영을 강화하고 동시에 디지털 판매 채널을 빌려 소비 시나리오를 확대하며 ‘탈계절화(去季节化)’ 전환을 추진해야 한다.


  중국 아이스크림은 기존 ‘여름철 더위 해소 냉동식품’에서 ‘레저 식품 + 건강 간식’이라는 복합 상품군으로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핵심 구동력은 소비 수요의 업그레이드에 있으며, 소비인구의 건강화, 개성화, 구체적인 상황별 소비에 대한 수요가 두드러지고 있다. 소비 트렌드를 파악하고 혁신을 주도하며 핵심 역량을 강화하는 기업들만이 치열한 경쟁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장기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다.


출처 : https://www.cnfood.cn/article?id=1959816635872284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