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3주차 KATI
[유럽] 여름 시즌 감각형 식소비 트렌드 – 독일·동유럽 확산
최근 유럽 식품시장은 단순히 맛과 영양을 넘어, 시각적 자극·SNS 공유·체험 요소를 핵심으로 하는 감각형 식소비(sensory-driven consumption) 트렌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특히 여름철 시즌 제품은 소비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진·영상 콘텐츠로 확산되며 사회적 ‘이벤트’로 기능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유럽 전역에서 관찰되며, 서유럽뿐 아니라 독일·체코·폴란드 등 중부·동유럽 시장에서도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보여주는 음식’ 소비문화가 정착하는 양상을 보인다
▶ 유럽 전반의 여름 감각형 식소비 트렌드
- 한정판·이색 조합 메뉴 확산
Homes&Gardens은 올해 여름 유럽에서 정어리 스파게티, 딸기 크림 샌드위치, 아이스크림과 와인 페어링, 피스타치오맛, 과일얼음 등이 트렌드로 꼽힌다고 보도했으며, 이는 단순히 맛이 아닌 이색적 조합·SNS 공유가치를 중시하는 소비 흐름을 보여준다.
<감각형 식소비 트렌드 예시>
|
|
|
|
|
|
피스타치오 활용 식품 |
아이스크림과 와인 페어링 |
한정판 칵테일 |
과일 얼음 |
|
출처 : Home&Gardens 캡쳐 |
|||
- SNS·비주얼 중심 마케팅
여름철 음료·디저트 업체들은 ‘인스타그래머블(instagrammable)’ 제품을 출시하며 젊은층 공략하고 있다. 틱톡과 인스타그램을 통한 ‘맛 챌린지’, 비주얼 컷 공유 등이 제품 확산의 주요 경로로 작동한다.
|
<SNS비주얼 중심 마케팅의 인스타그래머블 활용법 예시> |
||
|
|
|
|
|
Aperol 의 다양한 활용법 |
Colors of Taste 레시피 북 |
Bitterol 의 새로운 레시피 |
|
출처 : 인스타그램 직접 캡쳐 |
||
- 라이프스타일과 식품의 결합
야후 라이프스타일은 얼룩무늬 식기 ‘스플래터웨어(Splatterware)’가 음식과 결합해 인스타그램용 비주얼로 소비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식품이 단순히 섭취 대상이 아니라, 테이블웨어·공간 인테리어와 함께 경험되는 라이프스타일 요소로 진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비주얼 중심 마케팅 및 라이프스타일과 식품의 결합 예시> |
|
|
|
출처 : Playful tableware trend that’s taking over summer, 야후라이프스타일 |
▶ 독일의 사례 – 젤라토 문화와 시각적 소비
독일은 여름 시즌에 남녀노소 모두 젤라토 문화가 폭발적인 관심을 끌며, 대표적인 감각형 식소비 사례로 꼽힌다. 2025년 베를린에서 열린 Gelato Week Germany 에서는 베를린, 함부르크, 프랑크푸르트 등 주요 7개 도시에서 200여 개 젤라토 매장이 참여하여, 장미 치즈케이크, 피스타치오·딸기 조합 등 실험적인 맛이 선보여졌고, 소비자들은 SNS 인증샷을 통해 이를 ‘경험 공유’로 소비했다. 이에 젤라토가 단순한 디저트를 넘어 문화적 이벤트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2025 Gelato Week Germany 의 이색적인 젤라또> |
|
|
|
출처 : 2025 Gelato Week Germany, HelloBerlin |
▶ 동유럽 사례 – 기능성·프리미엄 스낵과 감각 소비
현재 체코는 Z세대 주도의 프리미엄 스낵 열풍이 불고 있다. Euromonitor에 따르면 체코 스낵 시장은 2024년 26억 달러 → 2025년 28억 달러 전망되며,연 평균 4%대 성장률이 예상되고 있다. 조사기관 Mintel은 체코의 Z세대는 스낵을 에너지 보충·감정 보완·자아 표현 수단으로 소비하며, 강렬한 맛(매운맛·신맛), 비주얼적 자극, SNS 공유 요소가 결합된 제품이 인기다.
폴란드의 경우는 전통 간식의 재해석이 인기 주제이다. ‘Prince Polo‘라는 초코 웨이퍼 바는 전통적인 제품이지만, 최근 Z세대의 ‘노스탤지어(Nowstalgia)’ 소비와 결합하며 다시 인기를 끌고 있다. 이는 과거 간식+새로운 비주얼 마케팅이 젊은층에게 소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다.
|
<프린스 폴로 제품의 노스탤지어소비 마케팅 예시> |
|
|
|
출처 : Tiktok 직접 캡쳐 |
▶ 시사점
- K-푸드의 한정판 전략 활용하여 유럽 시장 진출 모색 가능
- 유자·매실·감귤 등 한국 원료를 활용한 여름 시즌 한정 간식·음료 기획
- SNS 공유형 제품 기획 : 김스낵, 불닭 소스, 고추장 기반 간식 등을 ‘강렬한 맛+비주얼’로 패키징
- 식품 패키징·테이블웨어·공간 마케팅과 결합해 먹는 경험+보여주는 경험’을 동시에 제공하는 전략 필요
▶ 출처
Homes & Gardens, From sardine spaghetti to strawberry sandos – 7 summer food trends (2025.7.19.)
https://www.homesandgardens.com/living/summer-food-trends
True-Italian.com, Gelato Week Germany 2025 (2025.5)
Yahoo Lifestyle, Playful tableware trend that’s taking over summer
AP News, Farmstand chic? Décor is awash in fruit and vegetable motifs
Euromonitor, Snacks in the Czech Republic / Poland (2025)
Mintel, How snack brands can win the generation game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