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K-Food 및 경쟁국 식품 동향
2025년 7월, 하노이지사
□ 키워드 :
○ 필리핀 식품 시장 현황
- 필리핀은 1억 인구의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식품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도시화와 중산층 확대에 따라 가공식품, 즉석식품, 프리미엄 식품 수요가 확대되는 추세임. 미국 농업부(USDA)의 자료에 따르면 가처분 소득 및 해외 이체금액 증가, 인구 증가에 따른 영향으로 `25년 필리핀 식품 산업군은 5%의 성장이 전망된다고 예측하였으며, `24년 전체 식품·식음료 소매 매출 금액인 약 535억 달러 보다 성장하여 `25년에는 550억 달러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였음
- 비용과 편의를 중시하는 소비자들은 온라인 장보기·배달 플랫폼(Shopee, Lazada, GrabMart 등)으로 점차 눈을 돌리고 있으며, 디지털 마케팅과 옴니채널 전략을 통해 유통사들이 새로운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음. 필리핀의 유통 구조는 대형 유통체인(SM, Robinsons 등)과 편의점, 온라인 플랫폼(쇼피, 라자다 등) 중심으로 급변하고 있으며, 이들 채널은 경쟁국 식품에 열려 있음
- 필리핀 식품 시장은 가격·편의·건강·한류라는 복합 수요를 기반으로 구조가 재편되고 있으며, K‑Food는 한류 콘텐츠와 소비자 경험을 바탕으로 즉석 조리식, 스낵, 주류 분야에서 빠르게 입지를 확대되고 있음
- 필리핀 정부는 농수산식품 수입을 확대함과 동시에 식품 안전성 기준을 강화하고 있으며, 동남아 역내 수입 식품에 대해서는 무관세 혜택이나 통관 간소화 등 다양한 유인을 제공하고 있음
○ 필리핀 K-Food 소비 현황
- 최근 세계적으로 K-콘텐츠의 소비 확대에 따라 K-푸드 또한 필리핀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필리핀 내 주요 한국 식품은 라면, 김, 떡볶이, 과자, 아이스크림 등의 품목을 중심으로 소비가 확대되고 있음
- 특히 OTT 및 각종 영상 플랫폼을 통해 한국 드라마와 K-팝의 인기는 한국 음식에 대한 수요로 자연스럽게 이어졌으며, 라면, 김치, 과자, 음료와 같은 주요 수출 제품들은 현지 대형마트와 편의점은 물론 Shopee·Lazada 같은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음. 필리핀 현지 유통업체 관계자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 간편식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라고 밝히며, “특히 매운맛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것도 큰 변화”라고 전했음
- K-드라마 및 K-POP에 높은 관심이 K-Food로의 소비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드라마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삼겹살+소주의 문화가 필리핀의 외식 문화로 자리를 잡는 과정에 있음
◯ 경쟁국 식품 수입 동향
- K-Food의 큰 경쟁자는 여전히 일본 식품으로, 일본산 간장, 즉석우동, 녹차, 과자류는 '프리미엄' 이미지를 바탕으로 중상류층을 대상으로 안정적인 판매량을 유지하고 있으며, 또한 일부 품목은 필리핀 현지에서 OEM 방식으로 생산되어 가격 경쟁력까지 갖춰 현지 소비자들에게 다가가고 있음
- 중국 식품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대량 소비 시장을 공략하고 있음. 냉동만두, 인스턴트 국수, 소스류 등은 가격 민감도가 높은 계층에서 인기를 얻고 있으며, 필리핀 내 중국계 유통망을 통해 폭넓게 유통되고 있으나, 품질에 대한 인식은 아직 K-Food에 비해 낮은 편임
- 미국 식품 브랜드는 유기농, 글루텐프리, 비건 제품 등을 통해 건강을 중시하는 중산층 이상 소비자들을 공략 중이다. 특히 시리얼, 유제품, 스낵류는 필리핀에서 이미 익숙한 제품군으로, K-Food와는 다른 차별화된 시장을 형성하고 있음
◯ 시사점
- K-Food가 필리핀 시장에서 더욱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가격 안정화, ▲현지화 제품 개발, ▲유통 채널 다변화가 중요할 것으로 예상되며, 일부 한국 업체들은 필리핀 내 생산기지를 확대하거나 OEM 방식으로 가격을 낮추려는 시도를 이어가고 있음.
- K-Food는 한류라는 강력한 콘텐츠 기반 위에 성장하고 있지만, 일본의 프리미엄 이미지, 중국의 가격 공세, 미국의 건강과 같은 경쟁국의 강점을 뛰어넘기 위해선 보다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며,
- 한국 식품도 전략적인 입점과 프로모션을 통한 현지 신규 유통망 확대, K-푸드의 적극적인 홍보와 더불어 다양한 제품의 현지 진출을 통해 K-푸드의 현지화 정착과 함께 필리핀 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과 현지 수요에 맞는 신규 품목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 출 처
- PHL food sales seen growing 5% / Business World / 2025.04.01.
- Annual Agricultural Performance Report / Department of Agriculture /
- Most In-Demand Products in the Philippines 2025 / Spiralytics / 2025.07.29.
◯ 문의처
- aT 하노이지사 +84 24-6282-2987 / 필리핀 수출모니터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