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말레이시아] 브랜드가 주목해야 할 Z세대 소비자 10가지 특징 (2부)
2025-08-01

 ❍ 제일기획 말레이시아는 현지 Z세대를 분석한 트렌드 리포트를 발표하며, 현지 시장 공략을 위해 브랜드가 주목해야 할 Z세대의
     10가지 주요 특징을 소개 

  - 1부에서는 말레이시아 Z세대의 가치 중심 소비, 감정 반응 기반 콘텐츠 선호, 다문화 수용성 등 주요 트렌드 5가지를 중심으로 정리 

  - 이번 2부에서는 그 흐름을 이어 Z세대의 생활 태도, 관계 방식, 디지털 활용법, 소비 성향에 대한 나머지 5가지 특징을 정리하며
    한국 수출기업이 이들을 효과적으로 공략하기 위한 실질적 전략을 제안

 6. 파티 대신 건강, 웰빙이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  

  - 이전 세대와 달리 술자리나 클럽 문화보다 하이킹, 명상, 요가 등 자기 치유 및 건강한 활동을 선호함

  - 브랜드는 회복, 마음의 안정, 휴식, 정신 건강 등을 중심으로 한 메시지를 통해 현지 Z세대와 공감대를 형성해볼 수 있음

▲ Z세대가 선호하는 웰빙 트렌드 [출처 : 제일기획 말레이시아] 

7. 내향적 성향도 정체성 존중

  - 말레이시아 Z세대는 외향성을 강요하지 않으며, MBTI의 「I」(내향형)을 자랑스럽게 드러내며 에너지 절약적 관계를 선호함

  - 커뮤니티 속에서 「있는 그대로의 나」로 존중받길 원하므로 소외되지 않는 안전한 소통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

 8. 감정이 우선인 소비, 「소확행」을 중시 

  - 작지만 행복을 주는 소비에 집중하며, 실용성보다 감정적 만족이 구매 결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침

  - 브랜드는 제품의 효용보다도 「감정을 자극하는 포인트」에 집중한 메시지를 기획해야 함

    * 소확행 :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의 줄임말 

▲ 실용성은 없지만 귀여운 아기자기한 소품 [출처 : 제일기획 말레이시아] 

9. 검색은 소셜미디어에서, 답은 AI에서

  - Google보다 TikTok, Xiaohongshu, Instagram을 검색 채널로 활용하고, 일상 정보는 ChatGPT 등 AI 도구로 확인함

  - 소셜미디어와 AI 환경에 최적화된 콘텐츠 전략 수립이 필수

 10. 커스터마이징은 선택이 아닌 기본

  - 액세서리, 스티커, DIY 키트 등으로 자신을 표현하며, 제품도 자신만의 스타일로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함

  - 브랜드는 DIY 제품 구성, 맞춤형 포장 등 소비자 본인만의 개성을 반영할 수 있는 상품 기획이 필요 

    * 커스터마이징 : 고객의 기호에 따라 제품을 만들어주는 맞춤 주문 서비스 


▶ 시사점 및 전망

❍ 이에 따라 한국 수출기업은 다음과 같은 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진정성을 기반으로 한 브랜드 철학과 메시지 확립

  - 유연하고 다문화적인 협업 및 제품 기획

  - 참여형 콘텐츠,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제품 경험 설계

  - Z세대가 활동하는 플랫폼(TikTok, Xiaohongshu, IG)에 최적화된 콘텐츠 운영



※ 출처 

1) Cheil Malaysia, “Can’t Ignore Gen Z in Malaysia” (2025.7)

https://www.linkedin.com/posts/cheil-malaysia_gen-z-in-malaysia-10-signals-your-brand-activity-7353038565133438977-O48i?utm_source=share&utm_medium=member_desktop&rcm=ACoAAC3hyoMBP2BwV5YTYoieomdiZxyDqHI9OC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