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도네시아]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지 않는 로잘리 현상 급증
2025-07-28

external_image


▶ 주요내용


‧ 인도네시아 대도시에는 번화한 쇼핑몰이 많이 존재하지만 소비자들이 쇼핑몰에 방문만하고 구매활동을 하지 않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음


‧ 최근 쇼핑몰에 많은 방문객들이 몰리지만 구매는 거의 하지 않는 ‘로잘리(rojali)’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로잘리(rojali)란 인도네시아어로 롬봉안 자랑 블리(rombongan jarang beli) 즉 ‘거의 물건을 사지 않는 집단’이란 의미의 줄임말임


‧ 로잘리 소비자들이 쇼핑 공간을 찾는 목적이 쇼핑이 아니라 주로 산책, 사진 촬영, 또는 단순히 에어컨을 즐기기 위한 경우가 많아지고 있음


‧ 로잘리 소비자들은 특히 젊은층과 깊은 연관성을 갖음


‧ 해당 현상의 이면에는 중산층 시민들의 구매력 저하라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음


‧ 인도네시아 쇼핑센터관리협회(APPBI) 회장 알폰주스 위자야에 따르면 로잘리 현상이 광범위하게 일반화된 현상이 아닌 일시적인 유행일 뿐임


‧ 쇼핑몰을 자주 찾는 중산층 중에서도 그중 중하위 계층의 구매력 저하로 인해 발생한 것이므로 구매력이 회복되면 로잘리 현상도 완화되거나 사라질 것이라 예상함


‧ 코로나 팬데믹 이후 대중교통과 쇼핑몰이 정상화되면서 사용빈도나 사용자수는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지만, 많은 소비자들은 생활비 압박으로 인해 돈을 쓰는 데에 더욱 까다로워짐 


‧ 2025년 하반기로 접어드는 현 시점에 경기가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않아 소비자들이 브랜드 의류나 전자제품과 같은 2차 상품보다는 의식주에 필요한 기본 필수품이나 저렴한 소형 품목을 선호하는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


‧ 현재 대부분의 쇼핑몰 관리자 및 소매업체들은 가계 지출만으로도 빠듯한 잠재 고객들에게 쇼핑의 매력을 알리기 위해 할인, 묶음 상품, 할부 판매 등 다양한 프로모션 전략을 시도하고 있음


‧ 일부 쇼핑몰에서는 현 추세에 맞추어 단순한 쇼핑 장소가 아닌 가벼운 휴식과 사교를 할 수 있는 쾌적하고 안락한 공간으로 접근방식을 바꾸기 시작함



▶ 시사점 및 전망



‧ 최근 인도네시아 쇼핑몰에 많은 방문객들이 몰리지만 구매활동은 거의 하지 않는 이른바 ‘로잘리(rojali)’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코로나 팬데믹 이후 쇼핑몰 사용자 수는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지만, 많은 소비자들이 생활비 압박으로 인해 브랜드 의류나 전자제품과 같은 2차 상품보다는 의식주에 필요한 기본 필수품이나 저렴한 소형 품목을 선호함


‧ 한국식품 수출업체들은 인도네시아 젊은 세대들을 필두로 지출이 줄어들고 있는 점을 파악하여, 할인, 묶음 상품, 할부 판매 등 다양한 프로모션 전략을 활용하고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판매하는 온라인 마켓을 활용하는 등 현 상황을 타개할 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음



*출처 : finance.detik.com(2025.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