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필리핀 관세협상 타결
2025년 7월, 하노이지사
○ 미국-필리핀 관세협상 타결
- 2025년 7월 23일 필리핀 대통령실은 보도자료를 통해 필리핀 마르코스 주니어 대통령 -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협상 이후 필리핀 제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율이 기존 20%에서 19%로 인하되었다고 발표하였음
○ 관세협상 주요 내용
- 미국은 필리핀산 제품에 대한 미국 관세율을 19%로 적용하였다고 발표하였으며, 이는 지난 4월 발표되었던 17%보다는 높은 수치이나 이달 초 미국이 발표한 20%보다는 낮은 수치로 확인됨
- 필리핀은 미국과의 무역에서 시장을 개방하며 미국산 제품에 0% 관세를 적용하기로 하였으며, 미국은 이 조치를 통해 필리핀이 미국산 대두 제품, 밀, 의약품 수입이 늘어날 것을 기대하였음
- 마르코스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중 백악관을 방문한 첫 번째 동남아시아 정상으로, 회담 시작 전 기자들에게 “미국은 필리핀에게 가장 강력하고, 가장 가까우며,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동맹국”이라고 언급하였음
- 필리핀-미국 `24년도 교역액은 전년도 대비 21.8% 증가한 235억 달러로 확인되며, 미국은 필리핀과의 교역을 통해 약 50억 달러의 무역 적자를 기록하였음
○ 필리핀 현지 반응
- 이번 협정은 경제적 의미 이외에도 미국-필리핀 안보 동맹 강화를 위한 전략적 성격이 크며, 미국은 이번 협정을 통해 중국 견제를 위한 인도-태평양 전략의 일환으로, 이번 협의안 발표와 함께 군사 협력 확대 또한 함께 언급되었음
- 필리핀 현지에서는 기대에 못 미치는 결과로 실망감을 드러내는 평가가 나오고 있으며, 필리핀 대학교 정치학과 교수 아리이스 아루가이 (Aries Arugay)는 1% 관세 인하는 필리핀에 좋은 합의가 아니라고 언급, 중국 외교학원 리하이동(Li Haidong) 교수는 중국 관영 매체 ‘글로벌 타임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필리핀의 이번 관세 협상은 사실상 협상이 아닌 강요된 결과였다고 밝혔음
- 필리핀 국회 및 산업업계에서는 협정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으며, 명확한 실행지침 및 업종별 세부 내용이 없고, 협정 재검토 및 조정이 불가능한 것으로 전망되어 향후 기업의 유연한 대처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였음
◯ 시사점
- 무관세로 필리핀 시장에 진입하는 미국산 농산물 및 식품의 수입 확대에 따라 한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나, 한국-필리핀 자유무역협정에 따라 무관세 혜택을 받고 있는 한국 제품들의 비중이 약 95%인 현재 상황을 활용하여 주요 품목에 대한 확대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됨
◯ 출 처
- PBBM: Reduction to 19% US tariff rate on PH exports after negotiations ‘significant’ / Presidential Communications Office / 2025.07.23.
- US-Philippines trade talks yield modest tariff shift after Trump-Marcos meeting / Reuters / 2025.07.23.
- Trump strikes trade deal with Philippines and a 19% tariff / KATV / 2025.07.23.
- Marcos’ US visit highlights the Philippines’ passivity and embarrassment / Global Times / 2025.07.23.
- Trump announces trade agreement with the Philippines and terms of deal with Indonesia / CNN / 2025.07.22.
- Trump says U.S. struck trade, military deal with the Philippines; Manila has not confirmed / CNBC / 2025.07.22.
◯ 문의처
- aT 하노이지사 +84 24-6282-2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