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레이시아 중앙은행(BNM)은 2023년 5월부터 꾸준히 3%로 유지되었던 기준금리를 지난 7월 9일 2.75% 하향 조정
- 최근 새로 도입된 비필수품에 대한 판매‧서비스세(SST), 유류비 등 정부 보조금 개편, 대외 관세 충격 등이 하반기 경기 하방 리스크로
작용 우려
- 금리 인하는 불확실한 대외 상황이 성장 전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로 해석
❍ 현지 증권사 BIMB Securities는 탄력적인 국내 수요 및 서비스 및 기술 부문의 지속적인 성장에 힘입어 노동 시장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 안정적인 노동 시장이 소비자 지출 증가 및 경제적 모멘템을 유지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
- 말레이시아 통계청(DOSM)에 따르면 5월 실업률은 3%로 유지되고 있으며 전월 대비 0.7% 감소한 522,400명을 기록
|
▲ 2025년 5월 기준 말레이시아 실업률 추이 [출처: 말련 통계청, 2025년] |
❍ 말레이시아 통계청에 따르면 5월 도소매 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한 1,543억 링깃(약 50조 원)을 기록
- 소매 판매액은 전년 대비 4.9% 증가한 671억 링깃(약 22.6조원)을 기록했으며 도매 판매액은 전년 대비 4.7% 증가한 682억 링깃
(약 22.7조원)을 기록
- 현지 투자은행 Kenanga 및 MIDF에 따르면 5월 소비 판매액 전월 4.9% 대비 일부 둔화됐으나 소비 심리는 유지될 것으로 평가
|
▲ 2025년 5월 도소매 판매액 실적 [출처: 말련 통계청, 2025년] |
❍ 말레이시아의 소비 지출은 정책 완화, 임금 인상, 관광객 증가 등의 영향으로 하반기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
- 내수 시장은 관광객 증가, 고용 확대 및 임금 상승과 정부 정책이 가계 지출을 뒷받침할 전망이며 투자 부문도 공공 및 민간 부문 모두에서
원활한 사업 추진, 국가 마스터플랜 산업 등으로 지속 확대될 전망
▶ 시사점 및 전망
❍ 말레이시아 정부의 세수 확대에 따른 판매서비스세(SST) 도입, 유류비 보조금 개편 등의 경기 하방 리스크가 존재하나, 정부 지원 정책 등을
통해 소비 지출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
※ 출처
1) The Edge Malaysia
https://theedgemalaysia.com/node/762299
2) The Edge Malaysia
https://theedgemalaysia.com/node/762566
3) The Edge Malaysia
https://theedgemalaysia.com/node/762467
4) 말레이시아 중앙 은행
https://www.bnm.gov.my/-/monetary-policy-statement-0907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