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태국] 2025년 태국 닭고기 산업 동향
2025-07-17

[지구촌 리포트]

▶ 태국의 닭고기 생산 및 소비 전망

· 닭고기는 가정식과 외식 산업 모두에서 중요한 식재료이자 단백질원으로 자리잡고 있다. 태국에서는 돼지고기 가격 상승과 소의 전염병 우려로 인해 호텔, 레스토랑, 급식 산업에서 닭고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닭고기의 생산량과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 2025년 태국의 닭고기 생산량은 약 344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 대비 1.3% 증가한 수치다. 이와 더불어 국내 소비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2025년에는 226만 톤으로 전년 대비 0.7%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닭고기는 높은 단백질과 낮은 지방 함량 덕분에 소비자에게 인기가 있으며, 가격 면에서도 다른 육류보다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external_image

▶ 경쟁 환경 및 산업 동향

· 태국의 닭고기 산업에는 1,252개의 기업이 활동하고 있으며, 이 중 약 80%는 소규모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기업들은 자사의 농장을 보유하거나 계약 농업을 통해 대규모 생산을 하고 있으며 생산 과정에서 품질 관리를 철저히 하고, 신제품 개발 및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려고 경쟁하고 있다. 특히 품질 경쟁이 중요한 상황에서 지속적인 혁신과 신제품 출시가 경쟁력을 유지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 닭고기 산업의 경쟁은 제품의 품질 외에도 가격 경쟁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생산 원가가 비교적 높은 태국의 닭고기는 브라질, 중국, 미국 등의 대규모 생산 국가들과 가격경쟁을 하고 있으며, 사료 원료 수입 의존도와 높은 생산 비용이 주요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국의 닭고기는 품질과 안전성을 중심으로 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시장 내 입지를 확보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 태국의 닭고기 수출 동향

· 태국의 닭고기 수출은 2025년에 약 44억 4,500만 달러(약 6조 1,874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 대비 3.0% 성장한 수치이다. 태국 닭고기의 주요 수출국인 일본과 영국은 전체 수출액의 64%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중국, 대한민국, 말레이시아로의 수출이 이어지고 있다.


· 태국의 닭고기 수출은 2025년에도 주요 수출국인 일본과 영국의 경제 상황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등의 경제 둔화가 전체 수출 성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수출 성장률은 다소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 일본은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 중단과 국내 전염병 우려로 일부 이점을 보고 있지만, 중국산 닭고기와의 치열한 가격 경쟁으로 인해 성장률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영국은 내수 생산 증가로 인해 태국산 닭고기 수출에 제약을 받을 가능성이 크며, 2025년에는 수출 성장률이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external_image

▶ 태국 닭고기 수출 경쟁 및 리스크

· 태국의 닭고기 산업은 가격 경쟁이 치열하며, 주요 경쟁국으로는 브라질, 중국, 미국 등이 있다. 경쟁 국가들은 낮은 생산 비용과 대규모 생산을 바탕으로 가격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태국은 사료 원료를 대부분 수입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 비용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태국의 닭고기 가격은 경쟁국보다 높은 상황이다.


· 이외에도 태국의 닭고기 수출에는 몇 가지 리스크가 존재한다. 첫째, 사료 원료의 가격 변동성과 환율 변동이 생산 비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 둘째, 외국 수출 규제가 강화될 수 있으며, 특히 식품 안전 및 동물 복지 규제가 엄격해질 가능성이 있다. 셋째, 주요 수출국인 일본과 영국에서의 가격 경쟁 심화가 태국의 수출에 부담을 줄 수 있다.


· 또한 태국의 닭고기 산업은 주요 수출 시장인 일본과 영국에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시장 다변화가 필요하다. 중동, 뉴질랜드, 캐나다 등의 새로운 시장을 찾아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external_image

▶ 시사점

· 태국의 닭고기 산업은 가정식과 외식 산업 모두에서 중요한 단백질원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국내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따라 생산량과 소비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해외 수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태국 닭고기 시장은 가격 경쟁과 품질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태국의 닭고기는 브라질, 중국, 미국 등 대규모 생산국들과 가격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사료 원료 수입 의존도와 높은 생산 비용이 주요 부담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태국의 닭고기는 품질과 안전성 측면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장 입지를 확대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 출처  

https://www.kasikornresearch.com/th/analysis/k-social-media/Pages/Chicken-Industry-IAO139-FB-26-06-25.aspx

[그림 1, 2, 3]

https://www.kasikornresearch.com/th/analysis/k-social-media/Pages/Chicken-Industry-IAO139-FB-26-06-25.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