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물성 대체 수산식품 시장
대체식품은 동물성 원료를 다른 원료로 대체해 제조한 식품으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2023)에 따르면 ① 식물성 식품, ② 세포 배양식품, ③ 곤충식품, ④ 미생물 발효식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식물성 대체식품은 “식물(콩, 완두, 감자 등) 및 해조류(김, 다시마 등)에서 추출한 단백질로 육류 및 유제품과 비슷한 형태 및 맛을 구현한 식품”과 유사한 의미로 통용되고 있다.
The Good Food Institute에 따르면 전 세계 대체 수산식품(alternative seafood; 식물성(plant-based), 세포 배양(cell-based), 미생물 발효(fermented) 식품을 모두 포함함) 시장은 판매 중량 기준 2019년부터 2022년 사이 40%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식물성 어류(plant-based fish) 시장 규모는 2020년 1,000만 유로에서 2022년 4,300만 유로로 증가했다.
유럽의회(EP)는 식물성 대체 수산식품 시장이 변모한 시기로 2022-2023년을 꼽았다. 과거에는 가족 단위 소규모 사업자들이 해양 환경 보호, 대체 식단 지향 등의 가치를 표방하며 내놓은 제품들이 대부분이었으나, 2022년을 전후해 Nestlé 등 대형 식품 유통 기업과 Petit Navire 등 수산물 가공 업체가 시장에 뛰어들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또한 기존에 전문 매장이나 온라인 마켓 위주로 유통되었던 것과 대조적으로, Carrefour, Aldi 등 주요 유통 매장에서도 취급하게 되어 유통 경로 역시 다양해지는 추세이다.
유럽의회가 식물성 대체 수산식품 102개사를 조사한 결과, 독일(13개), 프랑스(11개), 네덜란드(9개) 등 47%가 EU 기업이었다. 프랑스 기업에는 Onami Foods, Ocean Kiss, Kokiriki, Petit Navire, Senfas 등이 있다.
동 연구에 따르면 주로 모방된 수산물은 조사 대상 제품 228개 중 참치(68개), 흰살생선(62개), 연어(35개), 새우(21개), 게(18개) 순으로 나타나 이들 5개 종이 전체의 89%를 차지했다. 한편 2022년 EU 1인당 수산물 소비량은 참치(2.96kg), 연어(2.51kg), 새우(1.68kg), 명태(1.67kg), 대구(1.63kg) 순으로, 대체 수산식품과 실제 수산물 소비 경향이 일치함을 알 수 있다.
■ 식물성 대체 수산식품 라벨링 규정 및 현황
유럽의회는 지난 6월 식물성 대체 수산식품(plant-based seafood substitutes)에 대한 보고서를 통해 식물성 대체 수산식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데 반해 라벨링에 대한 논의는 미흡함을 지적하며 규정을 강화할 것을 제언했다.
EU에서 유통되는 모든 식품과 마찬가지로 식물성 대체 수산식품의 라벨링은 FIC 규정(Regulation (EU) No 1169/2011)을 따라야 한다. 해조류(seaweed)나 조류(algae)로 제조된 경우에는 수산물에 대한 CMO 규정(Regulation (EU) No 1379/2013)도 준수해야 한다. FIC 규정 제7조는 소비자를 오도(misleading)할 수 있는 식품 광고 및 포장을 제한한다. 제1항 (a)는 식품의 본질(nature), 정체성(identity), 성질(properties), 구성(composition), 제조 또는 생산 방법(method of manufacture or production) 등을 명확히 밝혀야 함을 언급하고 있다.
반면 유럽의회 조사 결과, 해당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식물성 대체 수산식품이 다수 유통되고 있었다. 이들 제품 패키지에는 ▲실제 수산물 사진이나 이를 묘사한 그림을 사용함 ▲ 생선(fish), 특정 어종을 명시하거나 실제 수산물로 오인 가능한 표현을 사용함 ▲제품에 대한 충분한 설명(proper denomination)을 기재하지 않음 등의 유형이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221개 제품 중 100개 제품이 창작된 상품명을 사용해 실제 수산물과 연관성을 암시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연어(salmon)와 유사한 Salmonderful, Sal-nom dose, Solmon, 참치(tuna)와 유사한 Thuna, Toona, Toonish, Tuno, Vuna, 새우(shrimp)와 유사한 Crispy Chili Shrimpz, Vegan Shrymps, Vrimp, 생선(fish, poisson)과 유사한 F’sh Filets, Poiss*n, Vish 등의 제품이 있다.
유럽의회는 FIC, CMO 규정이 대체식품이 거의 개발되지 않았던 2011-2013년에 만들어졌음을 지적하면서, 식물성 대체식품이나 대체 수산식품을 다루는 장(chapter)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또한 EU 전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할 것을 촉구했다. 구체적으로는 상품명에 수산물 명칭이 포함되는 것을 금지하고, 창작된 상품명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기재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등의 방안을 제안했다. 유럽의회는 2024년 1월 발표한 결의안(resolution)에서도 현행 라벨링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대체 수산식품들에 대해 유럽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의 조치를 요구한 바 있다.
■ 시사점
유럽의 식물성 대체 수산식품 시장은 최근 급성장하며 새로운 수출 유망 분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참치, 연어, 새우 등 주요 소비 수산물을 모방한 제품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한국 식품 수출 업체는 이러한 수요에 맞춘 제품 개발 및 진출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유럽 내 라벨링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이므로, 소비자를 오도하지 않는 명확한 정보 제공과 상품명 사용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출처
https://eur-lex.europa.eu/eli/reg/2011/1169
https://op.europa.eu/en/publication-detail/-/publication/4298aaf8-4b25-11f0-85ba-01aa75ed71a1
https://www.atfis.or.kr/home/board/FB0027.do?act=read&subSkinYn=N&bpoId=4821&bcaId=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