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필리핀] 쌀 시장 동향
2025-06-30

필리핀, 쌀 시장 동향

 

20256, 하노이지사

키워드 :

필리핀 쌀 시장 현황

- 필리핀은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쌀 소비국이자 세계 최대 쌀 수입국 중 하나로서, 필리핀 국민들의 식생활에 있어 쌀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물가 안정과 직결되는 민감한 품목임

- 그러나 최근의 기후 변화, 생산기반 축소, 농업 인구 감소에 따른 필리핀 자국 내 쌀 생산이 안정되지 못하면서 해외 수입 의존도가 심화되고 있음

- `252월 필리핀 정부는 국내 쌀 가격 급등과 공급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식품안보 비상사태를 선포하였으며, 쌀시장의 불안정성이 매우 높아졌음을 시사하고 있음. 이는 필리핀 헌정 사상 처음 있는 조치로 비축쌀(NFA rice) 30만 톤 중 절반을 시장에 방출하는 동시에 수입 장벽 완화와 민간 수입장려 조치도 병행되었으며, 정부는 를 통해 서민 식탁을 보호하고 시장 내 쌀 가격 안정을 유도하고자 하였음

- 이에 따라 정부 비축 쌀이 지방정부에 보급되었으며 35페소로 보조금을 지원하여 판매를 시작하였고, 수입쌀 권장 소매가 상한 금액도 55페소에서 49페소로 인하하였음

- 비상사태 선포 이후 3개월간 쌀 가격은 7.7% 하락했으며, 물가상승률도 1.8%로 감소한 것으로 확인, 이는 NFA의 비축곡 시장 방출과 수입 확대 효과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되며,

- 민간 유통업체와 소비자 단체는 일시적인 효과보다는 구조적인 공급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기하고 있음. 소비자 단체들은 특정 브랜드 또는 등급 쌀의 가격이 여전히 높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서민층이 주로 소비하는 중저가 쌀 품목에서의 체감 물가 하락은 미미하다는 평가도 존재함

external_image

필리핀 쌀 소비 현황

- 필리핀은 국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약 110~120kg에 이르며 이는 세계 평균을 상회하는 수치로, 쌀은 일상 주식으로서 거의 모든 가정의 식탁에 등장하며, 중산층 이상의 외식소비에서도 필수적으로 포함됨

- 도시화가 가속되면서 즉석밥, 냉동밥, 쌀가공면 등 가공쌀 제품의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음. 특히 마닐라, 세부, 다바오와 같은 대도시에서는 대형 마트와 편의점에서의 간편식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학교 급식, 군 급식, 기업체 구내식당 등 대량 소비처에서도 쌀 소비는 지속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쌀 중심 식단 외에도 쌀을 활용한 가공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한국 쌀 및 쌀가공제품 동향

- 필리핀 내 일부 프리미엄 유통 채널에서는 한국산 즉석밥, 떡국떡, 쌀과자 등이 한류 콘텐츠와 연계되어 소개되고 있으며, 한국의 주요 식품기업(CJ, 대상 등)은 현지 유통망을 확보하여 정기적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음 K-콘텐츠를 소비하는 청년층을 중심으로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상승하고 있음. Shopee, Lazada 등 필리핀 대표 e커머스 플랫폼에서는 한국산 가공쌀 제품이 간편식 카테고리 상위에 랭크되기도 하였음. 또한 일부 대형마트(SM, Robinsons )에서도 한국 식품 코너를 통해 쌀 관련 제품이 고정적으로 유통되고 있음

- 202412월 발효된 한-필리핀 자유무역협정은 한국산 농식품의 필리핀 진출 여건을 일정 부분 개선하였으며, 특히 즉석식품, 가공식품, 기능성 식품군에 대해 관세가 감면되어 일부 품목은 무관세 혜택을 받게 되었음. 기존 쌀 원물에 대한 직접 수출은 엄격한 수입 규제 및 가격 경쟁력 문제로 인해 현실적인 제약이 존재하였으나, 쌀가공 제품에 대해서는 유통 채널 확대와 마케팅 강화에 따라 수출 여지가 확대되고 있음

시사점

- 필리핀의 쌀 시장은 고질적인 자급 불균형, 기후 변화, 수입국 의존이라는 삼중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음. 정부는 비상사태 선포, 관세 인하, 비축곡 방출 등을 통해 단기적 안정을 유도하고 있으나 중장기적 공급안정성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황이며,

- 특히 가공쌀 제품의 수요 변화, 수입 통로의 다변화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한국과의 직접적인 쌀 무역은 제한적이나, 가공쌀 제품을 중심으로 한 교역 여건은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FTA 발효와 함께 현지 유통망 확대, K-푸드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가공식품에 대한 수요 증가가 맞물려 한국 쌀 가공제품의 진출 가능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필리핀 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과 수입 정책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 및 현지 수요에 맞는 신규 품목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출 처

- Philippines declares 'food security emergency' to tame retail rice prices / Reuters / 2025.02.03.

- Annual Agricultural Performance Report / Department of Agriculture /

 

문의처

- aT 하노이지사 +84 24-6282-2987 / 필리핀 수출모니터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