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바레인] 대형유통매장 및 한국마트 현황
2025-06-26


 

주요내용

2024년 기준, 바레인으로의 한국 농식품 수출액은 약 2643,600달러로, ‘20년 약 1534,600달러 대비 연평균 14.56% 증가했다.

 


<‘20-’25년 바레인 한국 농식품 수출 현황>

(단위: 천 달러)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5월누계)

가공

1,421.6

1,638.7

2,423.7

1,754.8

2,354.5

955.8

신선

99.1

52.7

98.8

136.8

182.3

23.3

수산식품

13.9

40.7

86.8

90.7

106.8

18.1

1,534.6

1,732.1

2,609.3

1,982.3

2,643.6

997.2


출처: Kati 통계, 두바이지사 가공


 

’255월 누계 기준, 바레인의 주요 한국 농식품 수출 품목은 라면, 비스킷, 음료 제품 순이며, 이외에도 채소류와 미역이 전년 대비 각각 114.9%, 13.8% 증가해 유망 품목으로 예상된다.

 

바레인 내 주요 대형 유통매장으로는 Al Jazira Supermarket, Mega Mart, LuLu Hypermarket, Carrefour, Alosra Supermarket 등이 있으며, aT 두바이지사는 ’255, 바레인 현지 대형 유통매장 및 한국마트를 직접 방문하여 한국 식품 취급 현황에 대한 시장 조사를 실시했다.

 

바레인 내 대형 유통매장

유통매장 1. Al Jazira Supermarket (방문 지점: Juffair)


Al Jazira Supermarket 매장 입구 전경

출처: aT 두바이지사 직접 촬영


 


 

AlJazira Supermarket1965년에 설립되어, 현재 바레인 전역에 15개 정규 매장과 5개의 익스프레스(store-in-station)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현지 유통체인이다.

 

방문한 Juffair 지점에서는 음료류, 라면, 소스류, 냉동식품, 과자류 등 다양한 한국 식품이 고르게 구성되어 있었으며, 특히 음료류, 라면, 냉동식품은 한 진열대에 빼곡히 진열되어 있어 소비자의 눈길을 사로잡는 배치가 인상적이었다.


Al Jazira Supermarket 한국 식품 취급 현황

음료류

냉동식품

소스류

과자류

출처: aT 두바이지사 직접 촬영


 

또한, AlJazira Supermarket은 매장 내 별도의 Non-Muslim 전용 코너도 마련되어 있으며, 런천미트, 햄류, 돼지고기 제품 등이 별도 진열되어 있다.


Al Jazira Supermarket Non-Muslm 코너

음료류

가공식품()

돼지고기

출처: aT 두바이지사 직접 촬영


 

유통매장 2. Mega Mart (방문 지점: Shabab Ave)


Mega Mart 매장 입구 전경 및 한국 식품 취급 현황

매장 입구 전경

취급 한국 제품

출처: aT 두바이지사 직접 촬영


Mega Mart1993‘Babasons’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어, 2000년부터 대형 슈퍼마켓 체인으로 확장되었다. 현재 8개의 대형 메가마트와 2개의 소형 메가마트 매장을 운영 중이며, 바레인 최대 규모의 슈퍼마켓 체인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방문한 Shabab Ave 지점에서는 한국 식품이 한 진열대에 집중적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라면(삼양), 각종 과자류, 소스류(불닭소스, 쌈장, 고추장), 빵가루 등 다양한 품목이 일목요연하게 진열돼 있어 구매 편의성이 높았다.

 

유통매장 3. Alosra Supermarket (방문 지점: Al Raya Mall)


Alosra Supermarket 매장 입구 및 한국 식품 취급 현황

매장 입구 전경

취급 한국 식품

출처: aT 두바이지사 직접 촬영


매장 고급화 전략을 통해 고객에게 프리미엄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Alosra Supermarket1987년 바레인 마나마 중심가에 첫 매장을 오픈한 이후, 현재 바레인 전역에 7개 매장과 사우디아라비아 2개 매장을 포함하여 총 9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방문한 AlRaya Mall 지점에서는 한국 식품 전용 매대가 구성되어 있었으며, 라면(삼양, 팔도), 떡볶이(요뽀끼), 음료류(OKF Sparkling) 중심의 제품들이 확인되었다.

 

이외에 방문한 LuLu Hypermarket(방문 지점: Juffair Mall, The Avenues Mall)Carrefour(방문 지점: Oasis Mall, City Centre)에서는 인터내셔널 코너 내에 한국 식품 전용 매대가 확인되지 않거나, 매대는 마련되어 있었지만 실제 진열된 한국 제품은 없는 경우가 많았다. 일부 라면, 초코파이, 음료류 등 소수 품목만 제한적으로 비치되어 있어 전반적인 진열 규모는 매우 제한적인 편이었다.

 

바레인 내 한국마트 현황

바레인 현지에서 운영 중인 대표적인 한국마트로는 하나로 마트(Hanaro Market) 와 아시아나 하우스 마트(Asiana House Market) 가 있으며, 두 매장은 동일한 사장님이 운영하고 있어 현지 한인 사회 내에서 신뢰받는 유통망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하나로 마트와 아시아나 하우스 마트 매장 입구 및 내부 전경

매장 입구 전경

매장 내부 전경

매장 입구 전경

매장 내부 전경

출처: aT 두바이지사 직접 촬영


 

두 마트 모두 깔끔하게 정돈된 매장 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한국 식료품과 생활용품을 취급해 현지 교민과 한국 식품에 관심 있는 현지 고객들의 쇼핑 수요를 충족하고 있다.

이와 함께, 탈라밧(Talabat) 등 현지 배달 플랫폼을 활용한 온라인 마케팅 및 유통 전략 확대는 접근성을 높이고 신규 고객층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시사점

바레인은 인구 약 160만 명(2024년말 기준)으로, 이 중 현지인 비율이 약 60~70%인 비교적 작은 시장이다. 그러나 한국 농식품 수출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라면, 비스킷, 음료 등 인기 품목을 중심으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현지 교민과 현지인 모두 한국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고, 특히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지역에 거주하는 한인들도 바레인 매장을 방문해 구매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바레인은 GCC 내에서 소규모지만 전략적으로 중요한 한국 농식품 시장으로 판단되며, 프리미엄 매장과 대형마트를 연계한 다각적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출처

https://www.aljaziragroup.com.bh/

https://megamartbahrain.com/

https://www.bmmigroup.com/divisions/supermark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