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도] 10분 내 배달 시대 본격화, 인도의 식품 배달 플랫폼의 치열한 경쟁
2025-06-16

external_image

[사진: Business-Standard]


▢ 주요 내용


 ㅇ 인도의 대기업 타타그룹이 지원하는 인도의 대표적인 온라인 식료품 유통 플랫폼 ‘BigBasket’이 2026년까지 인도 전역에 10분 내 음식 배달 서비스를 론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인도 벵갈루루에서 시범 운영을 시작한 식품 배달 서비스 시범 프로그램은 오는 7월까지 총 40개 다크스토어(Dark Store)*에서 운영될 예정이며, 이는 빠른 배달 시스템을 본격 도입하기 위한 초기 테스트 단계다. 현재 BigBasket은 인도 전역에 약 700개의 다크스토어를 운영 중이며, 성공적인 서비스 확대를 위해 이 수를 2025년 말까지 1,000~1,200개로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ㅇ 다크스토어는 고객이 주문한 상품을 도심 내 소규모 물류거점에서 빠르게 배송하기 위해 운영되는 오프라인 매장으로, 일반 소비자가 방문하지는 않는 배달 전용 시설이다. BigBasket은 이 같은 인프라 확장을 통해 인도 내 빠른 배달뿐만 아니라 고객 편의성과 서비스 품질 향상까지 동시에 실현하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ㅇ 이번 전략은 인도의 71억 달러(한화 약 9조 7천억 원) 규모로 성장한 퀵커머스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며, Swiggy, Zomato, Zepto, Blinkit 등 기존 플레이어들과의 경쟁에 본격 돌입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특히 Swiggy의 ‘Bolt’, Zomato의 ‘Instant’, Zepto의 ‘Cafe’, Blinkit의 ‘Bistro’ 등은 이미 10~15분 배송 시스템을 도입하고 서비스 지역을 전국적으로 확장 중이다. 이에 맞서 BigBasket은 타타그룹의 자회사인 Starbucks, Qmin 등의 브랜드를 접목한 메뉴 구성을 통해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며, 이는 단순 음식 배송을 넘어 프리미엄 식품 소비 패턴까지 아우르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ㅇ 이러한 현상은 식품 자체뿐 아니라 이를 어떻게 담고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포장 솔루션의 전략적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으며, Tetra Pak은 친환경 소재 기반의 포장재, 디지털 연계 기술, 감각적 경험을 높이는 디자인 등 다양한 혁신 솔루션을 통해 식음료 기업의 시장 대응력을 높이고 있다. 결국 Tetra Pak은 단순한 포장재 공급을 넘어, 브랜드 가치 전달과 소비자 접점을 설계하는 핵심 파트너로서 그 역할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ㅇ BigBasket은 기존 Zomato, Swiggy 사용자들을 주 타깃으로 하면서도 새로운 고객층을 발굴하고 전체 시장 점유율을 넓히는 데 집중하고 있다. 현재 전체 고객의 약 5%-10%가 식료품 주문 시 간편식도 함께 주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번 서비스 확장에 따라 해당 수치는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시사점


 ㅇ 인도 퀵커머스 시장의 고도화는 단순한 '빠른 배송'을 넘어, 식품 품질, 물류 효율성, 포장 기술까지 포함한 종합적인 경쟁력 확보로 진화하고 있다. 다크스토어 기반의 도심 밀집형 물류 시스템은 냉장·냉동 간편식, 프리미엄 커피 및 디저트류 등 시간과 온도 민감도가 높은 제품군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한국 식품 기업에 새로운 수출 기회가 될 수 있다.

ㅇ출처 : 

https://www.business-standard.com/companies/start-ups/bigbasket-launch-10-minute-food-delivery-march-2026-ipo-plan-125061000904_1.html

https://www.businesstoday.in/entrepreneurship/start-up/story/bigbasket-10-minute-food-delivery-service-india-tata-479826-2025-06-10

https://www.reuters.com/world/india/bigbasket-launch-10-minute-food-delivery-across-india-by-march-2026-executive-2025-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