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뉴질랜드] 주류제품에 임신 경고 라벨 미부착 여전
2025-06-12

external_image


▶ 주요내용 



‧ 뉴질랜드 보건단체가 실시한 첫 전국 주류 임신 경고 라벨 실태조사에서, 전체 주류 제품의 34%가 임신 경고 라벨을 전혀 부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올바른 경고 라벨이 붙어 있는 제품 중 16%는 라벨이 포장재 바닥에 숨겨져 있어 소비자가 쉽게 볼 수 없는 상태임


‧ 이번 조사는 2023년 8월부터 정부가 임신 경고 라벨 부착을 의무화한 이후 처음으로 진행되었음


‧ 400여 개 제품을 점검한 결과 절반에 가까운 44%가 라벨이 없거나 바닥에 숨겨져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임신 중 음주는 태아 알코올 스펙트럼 장애(FASD) 등 평생 지속되는 인지·정서·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음


‧ 알코올 스펙트럼 장애는 뉴질랜드 내 연간 91억 달러에 달하는 알코올 피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뉴질랜드 정부는 20년 넘는 공중보건 전문가와 지역사회의 요구 끝에 2023년 8월부터 임신 경고 라벨을 의무화함


‧ 뉴질랜드 보건단체의 건강증진 자문관 사라 스니드에 따르면 와인 한 병을 들었을 때 임신 경고 라벨이 있을 것이라 기대하는데, 실제로는 의무화 1년이 지난 지금도 없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함


‧ 증류주는 경고 라벨 부착 비율이 48%로 가장 낮았고, 와인도 57%에 비율이 낮은 편임


‧ 법적으로 2023년 7월 31일 이후 제조된 제품에만 라벨 부착을 의무화했기 때문으로, 유통기한이 긴 증류주와 와인에서 미부착 제품이 많은 편임


‧ 뉴질랜드 주류 제품에는 암 유발 등 다른 건강경고나 성분표시 의무가 없고, 혼합주 외에는 성분표시도 필요하지 않음


‧ 뱃속 아기의 뇌 손상을 예방하는 데 필요한 정보 제공은 당연한 권리이며 경고 라벨이 소비자가 올바른 결정을 내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


‧ 전문가들은 임신 경고 라벨의 부착 위치와 가시성 강화, 다양한 건강경고 도입 등 소비자 알 권리 보장을 위한 추가 조치가 시급하다고 지적함



▶ 시사점 및 전망



‧ 2023년 8월부터 뉴질랜드 정부가 임신 경고 라벨 부착을 의무화한 이후 전국 주류 임신 경고 라벨 실패조사에 따르면 전체 주류 제품의 34%가 임신 경고 라벨 부착의무를 이행하지 않음


‧ 임신 중 음주는 태아 알코올 스펙트럼 장애를 유발할 수 있고 뉴질랜드에서 알코올 스펙트럼 장애의 피해가 연간 91억 달러에 달하기 때문에 뉴질랜드 정부는  2023년 8월부터 임신 경고 라벨을 의무화하고 있음


‧ 한국주류 수출업체는 뉴질랜드에 제품 판매 시 임신 경고 라벨을 부착해야 하며, 추후 건강경고 또는 성분표시 의무화로 소비자 알 권리 보장을 위한 추가 조치가 행해질 수 있으므로 지속적으로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됨


 *출처 : rnz.co.nz(2025.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