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주요 식품시장 트렌드
2025-06-04

[지구촌 리포트]

▶ 인도네시아 주요 식품시장 여건 및 시장 현황
 

  ‧ 2024년 기준 인도네시아 주요 식품들의 소매 판매량은 339조 591억 루피아(약 28조 6504억 원)를 기록하여 견고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글로벌 공급망 혼잡 해소에 따라 대부분의 식품 카테고리는 2023년 대비 단위가격 상승률이 낮음

  ‧ 가공육 및 해산물, 쌀, 파스타 및 국수는 예외적으로 단위가격 성장률 상승이 가속화됨

  ‧ 쌀 생산량 감소로 인해 쌀 가격이 상승했으며, 수입 농업 원자재, 가축 사료비용 상승이 가격 압박을 가중시킴

  ‧ 인도네시아 정부의 에너지 보조금 개편으로 인해 연료 및 전기 비용이 증가하여 소비자의 부담이 증가했으며, 가공 및 물류비용의 상승과 인도네시아 루피아의 평가절하가 겹쳐 수입품 가격은 상승함 

  ‧ 인플레이션 압력 속에서 소비자들은 가격에 매우 민감해져 저렴하고 가성비 좋은 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제조업에서의 대규모 해고사태는 소비자 가처분 소득을 감소시켜 소비 지출을 더욱 제약시킴

  ‧ 쌀과 국수와 같은 주요 식품 카테고리는 꾸준한 수요를 보이지만, 시리얼 등 고가 제품에 대한 수요는 가격 상승에 영향을 적게 받는 고소득 소비자들로 제한됨

external_image
external_image


▶ 인도네시아 주요 식품시장 트렌드

  ‧ 인도네시아에서 대체 및 보완 소비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소매 판매량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쌀 가격의 급등은 소비자들의 국수 구매로 이어져 인스턴트 국수의 소매 판매량은 단위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기록함

  ‧ 도시화와 바쁜 생활 방식은 인도네시아 소비자들이 간편하고 빠르게 즐길 수 있는 식품을 선호하게 만들고 있으며, 시리얼과 가공육 및 해산물 제품 등이 이에 해당함

  ‧ 가공식품은 안전하고 위생적이라는 이미지로 마케팅 되고 있어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으며, 중산층을 중심으로 에어프라이어 등 조리기구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어 가공식품 판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

  ‧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낮은 혈당지수와 높은 섬유질이 포함된 포랑 쌀 및 곤약 쌀이 쌀 대체제로 각광받고 있으며, 아침 대용 시리얼로는 뮤즐리 및 그래놀라와 같은 영양가 높은 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음 

  ‧ 온라인 채널을 통해 건강 제품의 가용성이 확대되고 있어, 자카르타 외 인도네시아 전역으로 건강식품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음  

external_image

▶ 인도네시아 내 한국식품 동향

  ‧ 인도네시아에서 한국 드라마 및 K-pop의 인기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MZ세대 사이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 한국 식품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음 

  ‧ 떡볶이는 매운맛을 선호하는 현지 소비자들의 입맛에 맞고 간단하게 조리하여 즐길 수 있어 한국산 즉석식품 중 가장 많이 구매되고 있으며, 라면의 경우 삼양 불닭볶음면, 오뚜기 보들보들 치즈라면, 농심 순라면 등 다양한 맛이 시장에 유통되고 있어 인지도가 상승 중임 

  ‧ 한국산 음료류의 경우 할랄인증 제품 및 귀여운 캐릭터가 모델로 사용되는 제품들의 인기가 높으며, 스낵류의 경우 깨끗한 기름에 튀겨 나온 제품이라는 인식이 있어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고 있음 

  ‧ 한국산 라면 및 음료의 경우 전국 4만여 지점 이상의 인도마렛(Indomaret), 알파마트(Alfamart) 등 편의점에 입점 되어있어 소비자 접근성이 좋은 편이며, 인도네시아 대부분의 대형유통매장에는 김치, 라면, 음료, 스낵류 등 다양한 한국식품이 판매되고 있고, 푸드홀(Foodhall), 랜치마켓(Ranch Market) 등에는 한국관이 신설되어 있어 자체 판촉이 활발하게 진행 중임

  ‧ 전체 소매유통시장의 80%를 차지하는 재래시장에선 자국산 저가 가공식품 및 신선식품이 주로 판매되고 있으며, 수입식품 및 한국 식품은 현지 제품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이므로 현대식 유통매장에서 주로 판매되고 있음

external_image

 출처 

 ‧ 유로모니터(Euromonitor) – 2025 인도네시아 주요식품 시장 보고서 

 ‧ 피멜라(Fimela) - https://www.fimela.com/food/read/5855315/ini-dia-tren-makanan-sehat-yang-tengah-populer-mana-favoritmu?page=6

 ‧ 굿스태츠(Goodstats) - https://goodstats.id/article/intip-tren-kuliner-anak-muda-yang-hobi-jajan-namun-tetap-hemat-mmp99

 ‧ 쇼피 2025 - 자체 조사


▶ 시사점 및 결론 

 ‧ ‘24년 기준 인도네시아 내 주요 식품의 소매 판매량은 식료품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339조 591억 루피아(약 28조 6504억 원)를 기록하여 지속적으로 성장 중이며, 소비자들은 인플레이션 압박으로 인해 저렴하면서 가성비 좋은 식품을 찾는 경향이 있음

 ‧ 대체 및 보완 소비의 상호작용이 식품 쪽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생산된 식품의 인지도가 상승 중이며, 건강 트렌드의 영향으로 영양가 높은 식품들이 각광 받고 있음

 ‧ 현지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한국 식품 업체의 경우 위생적인 환경에서 만들어진 제품이란 점, 영양학적 가치가 있는 건강한 식품이라는 점을 적극 마케팅하면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가격에 민감한 현지 소비자들을 위해 소포장, 가성비 제품을 발굴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