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말레이시아] 이커머스 시장 지속 성장 추세
2025-05-02

 ❍ 2024년 말레이시아 이커머스 시장은 전년 대비 11% 증가한 79억불의 시장 규모를 기록하며 지속 성장을 보임

  -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이커머스 시장은 2024년 이후 연평균 9% 성장하면서 2028년 시장 규모는 약 114억불에
     이를 것으로 전망

  - 소비자들은 편의성 및 경쟁력 있는 가격을 중요시하며 이커머스를 통한 구매 행동을 활발히 지속

  - 높은 물가와 생활비 증가로 인해 합리적인 가격에 제품을 구입하려는 소비자들이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몰려드는 추세

▲ 말레이시아 이커머스 시장 추이 [출처: 유로모니터 2024년] 

 ❍ Shopee Marketplace와 Lazada Marketplace가 시장을 주도하며 AI 기술 활용으로 경쟁이 심화되는 추세 

  - Sea Ltd의 Shopee Marketplace는 말레이시아 이커머스 시장의 선두주자로, 2024년 44%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

  - Shopee는 9.9 슈퍼 쇼핑 데이를 포함한 대규모 마케팅 이벤트와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사용자 유입과 판매 증가를 이끌어냄

   * 현지 이커머스 시장에서는 8월 8일(8.8), 9월 9일(9.9) 등 매달 숫자가 겹치는 날 쇼핑 데이로 지정하여 대규모 할인 행사를 진행

▲ 2024년 이커머스 주요 플랫폼 점유율 현황 [출처: 유로모니터 2024년] 

 ❍ Shopee Live는 2024년 한 해 동안 6.5배의 매출 증가를 기록했으며, 건강·뷰티, 리빙, 식료품 등이 주요 인기 카테고리로
     자리 잡음

  - 2024년 Shopee 라이브에 참여한 현지 판매자들은 140만 회 이상의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으며 일부 판매자들은 매출이 4배 이상 증가

 ❍ Lazada Marketplace는 AI 쇼핑 어시스턴트 「AI Lazzie」를 론칭하며 개인 맞춤형 제품 추천 기능을 강화

  - AI Lazzie는 사용자 구매 내역과 관심사를 반영한 제품 추천과 실시간 특별 할인 정보 제공을 통해 소비 경험을 향상

  - 11.11 할인 행사에서는 「쇼핑 스피릿 애니멀(Spirit Animal)」 퀴즈를 통해 고객별 맞춤 쿠폰을 제공해 사용자 참여도를 높임

   * 쇼핑 스피릿 애니멀 :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성격 테스트 진행하여 라마, 사막여우, 돌고래 등 자신만의 동물 캐릭터를 만드는
      참여형 이벤트  

▲ 쇼피 라이브 페이지

▲ 라자다 AI 비서 Lazzie

 ❍ 이커머스 시장 확대로 온라인 식료품 쇼핑 잠재력 증가, 하지만 신규 세금 도입이 과제로 작용할 전망

  - 소비자들이 정기적으로 온라인 식료품을 구매하며 시간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으며, 현지 무현금 결제 시스템의 확대로
      인해 이커머스 접근성이 더욱 개선

  - 전자결제 및 「Buy Now, Pay Later(BNPL)」 서비스 도입으로 소비자들에게 유연한 구매 옵션을 제공

   * Buy Now, Pay Later는 앱을 통해 지금 구매하고 지출은 나중에 하는 결제 서비스 

  - 하지만 말레이시아 정부는 2024년부터 500링깃 이하 저가 수입품에 10%의 저가품세(LVG, Low-Value Goods Tax)를 부과하며, 신규
     세금으로 인해 이커머스 성장세가 다소 제한될 가능성


▶ 시사점 및 전망

❍ 한국 식품업체는 이커머스 플랫폼 및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한국산 식품의 경쟁력을 현지 소비자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음 

❍ Shopee Live와 같은 라이브 커머스 채널 사용은 현지 소비자들과의 실시간 소통을 강화하고, 판매 증대에 핵심 역할을 할 수 있음


※ 출처

1) The Edge Malaysia 

https://theedgemalaysia.com/node/733196

2)Malaysiakini

https://m.malaysiakini.com/announcement/725348

3) Euromonitor - Retail E commerce in Malay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