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영향
2025년 4월, 하노이지사
○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 2025년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대부분의 무역 협력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를 발표하였으며, 베트남은 46%의 상호관세를 부과, 이는 대베트남 무역 적자금액을 미국으로의 수출 총액으로 나눈 비율을 기준으로 계산되었음
- 또 럼 (Tô Lâm) 베트남 공산당 총비서는 상호관세 발표 이후 이틀 만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를 진행하였으며, 미국에서 수입되는 상품에 대한 수입세를 0%로 낮추기 위한 협상을 미국과 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히며, 미국이 베트남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서도 유사한 세율을 적용해줄 것을 제안하였음
○ 베트남 현지 경제 전문가들의 반응
- 베트남 정부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해 신중하고 협력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미국의 46% 상호관세 부과 발표에 대해 베트남 외교부 대변인은 유감을 표하며 양국 간 상호 이익을 위한 경제 협력 정신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밝히기도 하였음
- 새로운 관세 정책에 따라 미국 내 소비자들의 수요 감소와 더불어 현재 진행 중인 교역량이 타 국가로 이전되어 베트남의 수출 실적과 더불어 경제 성장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히며,
- 베트남 현지 경제 전문가들은 미국의 발표 이후 현지 전문가들은 베트남의 대미 수출 금액인 1,200억 달러와 관련이 있으며, 미국이 발표한 46%의 관세 적용 시, 베트남 GDP의 7~7.5%에 해당하는 규모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밝힘
- 현재 베트남에서 미국으로의 수출이 많은 산업군 (섬유, 신발, 전자부품, 농산품, 수산물, 목재, 물류)과 같은 분야에서 부정적인 영향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며, 상호관세 발표 이후 베트남 증시가 하락한 것도 관찰되었음
○ 뒤따른 상호관세 유예 조치
- 하지만 2025년 4월 9일 미국은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는 내용을 발표하였으며, 4월 14일 미국 재무부 장관의 발표에 따르면,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 기간을 통해 많은 국가와 합의에 도달할 것’이라는 전망을 표명하였음
- 베트남 정부는 상호 관세 유예 발표와 동시에 부주석을 단장으로 하는 정부인사 및 기업인으로 구성된 경제 사절단을 미국으로 파견하며, 미국 현지시간 4월 10일 베트남 호 득 푹 (Hồ Đức Phớc) 부총리는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 하워드 루트닉 무역부 장관과 회담을 가졌으며, 양 국가 간 무역 협정 협상을 위해 논의를 진행하였다고 밝혔으며, 특히 양국의 가장 중요한 내용인 관세 부분에 대한 협상 진행을 공식적으로 합의하였다고 밝힘.
○ 베트남의 대응방안
- 베트남은 3/31일부로 적용된 정부 결의안 73/2025/NĐ-CP를 발표하며, 총 13개의 품목에 대한 관세를 인하하였음
- 하지만 전문가들은 미국이 아직 각 품목에 대한 구체적인 세율을 발표하지 않았다고 밝히며 실제 영향 수준은 각 산업의 수익 구조에서 대미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과 다른 수출국에 비해 베트남의 경쟁력 수준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하였음
- 일부 품목은 2001년 12월부터 발효된 베트남-미국 무역 협정에 따라 여전히 우대 세율을 누리고 있어 이번 세금 조정의 영향을 어느 정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음
- 특히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해 세계 무역이 점점 더 긴박해지는 상황에서 베트남 정부는 적극적으로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VIS Rating에 따르면 관세 정책 발표 이후 베트남과 미국 정부 대표들은 무역 정책을 조정하고 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많은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 동시에 베트남 정부는 SpaceX와 같은 미국 기업이 Starlink 위성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실험적 서비스를 베트남에 배치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새로운 협정도 승인하였으며, 이러한 협정의 목적은 장기적으로 베트남의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는 동시에 미국 상품의 수입을 늘리는 것을 목표하는 것으로 추정됨
◯ 시사점
- 불완전한 시장 상황을 파고들어 관세 정책이 확정되기 이전 선제적인 대응을 통해 현재 기체결된 한국과의 세율이 낮은 품목의 수출 확대를 통해 베트남 현지에서의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모색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됨
- 한국산 제품의 공급망 투명성 확보 및 원산지를 정확하게 준수하여 잠재적인 위험을 회피하는 것이 중요하며, 베트남과의 전략적 협력 강화를 통해 양국 교역액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됨
◯ 출 처
- THUẾ QUAN HOA KỲ: Tiến triển các cuộc đàm phán và động thái của các nước / Bao Dien Tu Chinh Phu / 2025.04.16.
- Đoàn công tác đặc biệt của Việt Nam tại Mỹ đạt bước đột phá lớn nhất những ngày qua: "Cánh cửa thép" đã mở / Cafe F / 2025.04.11.
- Chính sách thuế quan mới của Mỹ có thể ảnh hưởng 7,5% GDP Việt Nam / VietnamPlus / 2025.04.03.
- Thuế quan mới của Mỹ và những tác động đến nền kinh tế Việt Nam / Thoi Bao Tai Chinh / 2025.04.04.
- Tổng Bí thư Tô Lâm điện đàm với Tổng thống Mỹ Trump / VN Express / 2025.04.04.
- Vietnam regrets US reciprocal tariff policy on its exports / VOV / 2025.04.04.
◯ 문의처
- aT 하노이지사 +84 24-6282-2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