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내용
두바이는 올해부터 매년 4월 셋째 주를 'AI 주간(AI Week)'으로 지정해 콘퍼런스, 전시회, 경진대회와 같은 다양한 행사를 집중적으로 개최한다. 이에 발맞춰, 본 지사에서는 AI 마켓 인텔리전스 플랫폼 ‘알파센스(AlphaSense)’와의 직접 미팅을 진행하고, 농식품 산업 내에서 AI 기술이 실질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논의했다.
▷ 알파센스(AlphaSense)란?
마켓 인텔리전스 및 검색 플랫폼: 알파센스(AlphaSense) |
|
출처: AlphaSense 홈페이지(www.alpha-sense.com) |
알파센스(AlphaSense)는 AI 마켓 인텔리전스 플랫폼으로, 인공지능(AI)과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통합하여 사용자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 도구이다.
▷ 알파센스(AlphaSense)의 주요 차별점
1. 고급 데이터 기반의 인사이트
일반적인 생성형 AI 서비스는 오픈 데이터(무료 공개된 웹 기반 자료)에 기반한 정보를 제공하는 반면, 알파센스는 1,500개 이상의 리서치 제공업체로부터 수집된 유료 리포트와 185,000건 이상의 독점 전문가 인터뷰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고급 정보들은 개별 구매 시 수천 달러의 비용이 들며, 수백 페이지 분량에 달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처럼 방대한 자료 속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알파센스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사용자가 다소 추상적인 질문을 입력해도, AI는 이를 기반으로 약 4가지의 구체적이고 정제된 추가 질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며, 각 질문에 대해 신뢰성 있는 출처에 기반한 답변을 제공한다.
2. 높은 보안성
알파센스는 개인 LLM을 적용하여 정보 보안 측면에서도 높은 수준의 안전성을 제공한다. 민감한 산업 정보를 다루는 기업 고객들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주요 강점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알파센스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며, 당일 발행된 자료만을 기반으로 한 답변도 가능해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의사결정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당일 발행된 자료를 데일리 뉴스 형태로 자동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AE 내 한국 식품 트렌드”에 대한 이슈를 매일 오전 7시에 받아보도록 설정해두면, 당일 발행된 자료들을 기반으로 한 분석 요약이 제공되며, 이는 기업 실무자들 사이에서 높은 만족도를 얻고 있다고 한다.
▷ 알파센스와의 미팅을 통해 확인한 농식품 산업에서의 AI 활용 가능성
알파센스와의 미팅을 통해, 농식품 산업에서도 알파센스와 같은 생성형 AI의 실질적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알파센스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장 동향 분석, ▲산업별 전망(Outlook), ▲경제 정책, ▲투자 흐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사이트를 제공하여 전문가가 더 현명한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UAE 라마단 기간 중 한국 식품 관련 소비 트렌드에 변화가 있었는가?’, ‘유가 변동, 환율, 인플레이션이 중동 식품 수입 시장에 미칠 영향은?’과 같은 질문을 입력하면, AI는 관련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이슈 요약, 핵심 코멘트, 추이 예측 등 정제된 인사이트를 자동으로 도출한다. 이러한 기능은 농식품 산업 보고서 작성, 전략 수립, 바이어 타깃팅 등 다양한 실무 영역에서 즉각적인 활용될 수 있다.
■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