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러시아] 대EU 맥주 및 와인 수입 감소, 대중국 맥주 수입 증가
2025-03-28


□ 러시아의 대EU 맥주 수입 감소

 리아 노보스티(Ria Novosti)는 러시아 당국이 비우호국 맥주에 대한 관세를 인상한 가운데 2016년 이후 대EU 맥주 수입량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말 러시아 당국은 비우호국 맥주에 대한 관세를 0.1유로에서 1유로로 인상하는 내용을 담은 법안을 채택한 바 있다.  


비우호국 맥주에 적용되는 관세율 정리

external_image

출처: 모스크바지사 작성


 동 지는 유로스타트(Eurostat)의 자료를 인용, 올해 1월 러시아의 대EU 맥주 수입량이 2016년 이후 최저치인 4,040톤을 기록했으며, 이는 전월 대비 3.8배, 전년 동기 대비 4배 감소한 수치라고 전했다. 


2025년 1월 기준 맥주 수입량

external_image

출처: 리아 노보스티(Ria Novosti)게시 기사 참조 후 모스크바지사 작성


 이어 지난해 12월 기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독일 맥주 수입량은 전월 대비 80% 감소한 1,360 톤, 벨기에 맥주는 7.4배 감소한 173 톤, 체코 맥주는 5.6배 감소한 517 톤, 폴란드 맥주는 3배 감소한 704 톤, 라트비아 맥주는 2.1배 감소한 423톤 그리고 리투아니아 맥주는 5% 감소한 814톤을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 러시아의 대EU 와인 수입 감소

 또한 리아 노보스티는 유로스타트(Eurostat)의 자료를 인용, 올해 1월 기준 대EU 와인 수입량이 전년 동기 대비 50% 가까이 감소한 6,500 톤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이어서 지난해 1월 기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이탈리아 와인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2.9배 감소한 2,300 톤, 독일 와인은 약 50% 감소한 543톤, 스페인 와인은 438톤, 폴란드 와인은 1.8배 감소한 683톤 그리고 포르투갈 와인은 1.4배 감소한 713톤을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2025년 1월 기준 와인 수입량

external_image

출처: 리아 노보스티(Ria Novosti)게시 기사 참조 후 모스크바지사 작성


 그러나 EU 회원국임에도 불구하고 동기간 프랑스 와인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한 119톤, 라트비아 와인은 7.3% 증가한 191톤을 기록했으며, 지난해 최초로 불가리아 와인이 27톤 수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비우호국 와인에 대해서도 특별관세가 적용되고 있으며, 지난해 말 해당 관세율은 20%에서 25%로 인상되었다.


비우호국 와인에 적용되는 관세율 정리

external_image

출처: 모스크바지사 작성


□ 러시아의 대중국 맥주 수입 증가

 반면 리아 노보스티는 중국 관세청의 자료를 인용, 올해 2월 러시아의 대중국 맥주 수입액이 전년 동기 대비 2배가까이 상승한 24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작년 10월 기록된 사상최고치인 380만 달러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수치라고 보도했다. 

 관련 보도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 러시아보다 더 많은 중국 맥주를 수입한 국가로는 미얀마(약 540만 달러), UAE(약 260만 달러)가 있었으며, 우크라이나와 뉴질랜드가 각각 약 140만 달러 상당의 맥주를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2월 기준 국가별 중국 맥주 수입액

external_image

출처: 리아 노보스티(Ria Novosti)게시 기사 참조 후 모스크바지사 작성

 

 리아 노보스티는 러시아의 대중국 수입이 전년 동기 대비 1.8배 증가하는 등 러중간 교역이 확대되는 추세에서 지난해 대중국 총 맥주 수입액이 3,000만 달러를 돌파했다고 전했다. 


현재 주류 전문매장 브리스톨(Bristol) 및 빈랩(Vinlab)에서 판매되는 중국 맥주

external_image

출처: 브리스톨(Bristol) 및 빈랩(Vinlab) 공식 홈페이지



시사점

 러시아 당국이 비우호국 수입품에 특별관세를 부과한 이후 러시아의 대EU 맥주 및 와인 수입량은 확연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반대로 동기간 러시아의 대중국 교역량은 점차 확대되었으며, 특히 중국으로부터의 맥주 수입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일각에서는 중국 식품기업(맥주 제조업체 포함)들이 러-우 사태 이후 서방 기업들의 러시아 시장 이탈로 발생한 공백을 빠르게 메우고 있으며, 당분간 이와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음. 

 우리 기업들은 상기 시장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여 수출전략을 구상할 필요가 있음. 

 

출처

Ria.ru. Россия в феврале почти вдвое нарастила покупки китайского пива. 2025.03.24.

https://ria.ru/20250324/pivo-2006845989.html

Ria.ru. Россия в январе вдвое сократила ввоз вина из Евросоюза. 2025.03.24.

https://ria.ru/20250324/vino-2006858039.html

Ria.ru. Россия сократила импорт пива из ЕС до минимума с 2016 года. 2025.03.21.

https://ria.ru/20250321/pivo-2006358110.html

Alta.ru. Постановление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Ф от 07.12.2022 № 2240 "Об утверждении ставок ввозных таможенных пошлин в отношении отдельных товаров, страной происхождения которых являются государства и территории, предпринимающие меры, которые нарушают экономические интерес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www.alta.ru/tamdoc/22ps2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