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리포트]
통계데이터는 마상잉(马上赢) 오프라인 소매 모니터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며, 중국 전역 현급 이상 각급 도시(향, 진, 촌 제외), 핵심 도시 등을 대상으로 업태는 대·소형마트, 편의점, 식료품점(규모가 가장 작은 소매 업태, 주로 사탕·과자·음료·담배·술·일용품 등을 판매함)을 포함한다. 조사대상인 매장 내 주문 거래는 실시간 POS기 데이터로 자동 집계되며, 현재 오프라인 소매 모니터링 네트워크에는 브랜드가 30만 개 이상, 상품 바코드 수량이 1,400만 개 이상, 연간 주문 수량이 50억 건을 초과한다.
아래 내용은 2024년 4분기의 유제품 오프라인 소매 소비상황을 요약한 것으로, 참조 대상 중 전년 동기 대비 대상은 2023년 4분기, 전월 대비 대상은 2024년 3분기이다. 조사대상이 되는 매장은 2025년 1월 이전 15개월 동안 마상잉(马上赢) 오프라인 소매 모니터링 네트워크에서 집계되어, 23년 4분기, 24년 3분기 및 24년 4분기 조사 매장의 규모는 동일하게 일치하여 조사대상의 일관성을 보장한다.
▶ 유제품 소비 전체 현황 및 도매 가격 지수(WPI)
유제품 시장에서 상온 순우유는 약 45%의 시장점유율로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 뒤에는 저온 요구르트가 약 22%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외 나머지 품목의 점유율은 10%를 넘지 못하고 있다.
시장점유율의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로 보면, 버터가 전년 동기 대비 약 50%의 성장률을 기록하여, 점유율은 작지만 고속 성장하는 추세 속에 다크호스가 될 가능성이 보인다. 순산양유, 성인분유 등의 성장률은 16%에서 32% 범위 내에 있으며, 그 중 성인분유의 시장점유율은 약 5%에 달한다. 저온 순우유와 저온 요구르트의 시장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낙관적이며, 특히 저온 요구르트가 약 16%로 저온 순우유에 비해 더 큰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매 가격 지수(WPI)를 기반으로 주요 품목의 가격지수 변화 추세를 관찰한 결과, 전체적으로 주요 품목 6개의 가격지수는 2023년과 차이가 있지만, 그 차이와 변동 추세는 각각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하자면, 상온 순우유는 유제품 카테고리에서 절반을 지탱하는 품목으로 가격지수의 추세는 기본적으로 유제품 전체 가격지수의 흐름과 일치한다. 저온 요구르트, 성인분유, 치즈 및 상온 요구르트 네 가지 품목의 가 지수는 상대적으로 변동이 적으며, 가격지수의 하한선은 전체 시장 상황보다 약간 우위에 있다. 특히 상온 요구르트의 가격지수는 기본적으로 98에서 100 사이의 범위에 있다. 저온 순우유의 가격지수는 2024년 3월부터 4월까지 대폭 하락했으며, 이후 3개월 연속 상승한 후 다시 하락세를 보였으며, 12월까지 그의 가격지수는 작년보다 여전히 대폭 하락했다.
▶ 주요 품목의 SUK수(품목수) 전년 동기/전월 대비 및 판매가 변화 추세
각 주요 품목의 평균 판매가가 동일한 SKU수는 30~45% 범위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지 않으며, 평균 판매가가 소폭 하락하고 현저히 하락하는 구간은 일반적으로 약 30~40%로 적지 않은 비율을 차지함을 알 수 있다. 그중 상온 요구르트의 현저히 하락 부분의 비율은 14.35%에 달했으며, 치즈와 상온 순우유의 소폭 하락 비율도 약 30%에 도달했다. 전체적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가격 변동 폭이 가장 큰 품목은 치즈로 돼 있으며, 소폭 하락과 현저히 하락의 비율이 42.14%에 달하지만 동시에 소폭 상승과 대폭 상승의 비율도 주요 품목 중 가장 높았다. 이는 치즈 카테고리 내 가격 분화를 볼 수 있으며 상승과 하락 모두 향후 발전 추세가 될 수 있다.